[쿠키 건강] 노인성 질환 가운데 뇌경색이 노인들이 앓고 있는 질환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국대대학원 의학과 최영환씨의 박사학위 논문인 ‘19개 노인성 질환의 의료이용 및 의료비 시계열 비교’에 따르면 2003년부터 2007년까디 19개 노인성 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외래와 입원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질병은 뇌경색이었다고 19일 밝혔다.
뇌경색은 2007년 기준 외래진료량의 76.6%와 입원진료량의 68.3%를 각각 차지했다. 뇌경색은 외래비중이 2003년 78.4%에서 2007년엔 76.6%로 다소 떨어졌지만, 입원비중은 2003년 65.9%에서 2007년 68.3%로 오히려 늘었다.
이어 뇌출혈이 외래와 입원에서 각각 7.4%와 19.4%를 차지했으며, 이어 치매가 외래와 입원에서 각각 9.5%와 10.8%를 차지했다.
치매는 외래방문일수 비중이 2003년 6.2%에서 5년 만에 9.5%로 50%가량 증가했으며, 입원일수 비중도 2003년 4.9%에서 2007년 10.8%로 두 배 이상 급증했다.
반면 뇌출혈은 외래와 입원 모두에서 감소 추세를 보여 외래 방문일수 비중이 2003년 8.8%에서 2007년 7.4%로, 입원진료량은 2003년 28.0%에서 2007년 19.4%로 각각 감소했다.
19개 노인성 질환에 따른 입원 환자가 건강보험 전체에서 차지하는 규모에 비해 입원일수와 보험급여 비중이 컸다. 노인성 질환에 의한 외래 진료도 5년 사이 환자 수(1.58%→2.27%)와 방문일수(0.72%→0.94%), 급여(1.84%→2.82%) 모두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 노인성 질환에 의한 요양보험급여액은 외래의 경우 2003년 1119억원에서 2007년 2654억원으로 늘었으며, 입원은 2003년 5510억원에서 2007년 1조5049억원으로 증가했다.
최씨는 “노인질환의 단위 보험급여액이 전체 건강보험 평균 보험급여액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며 “앞으로도 건강보험에서 노인성 질환에 의한 비용부담이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유진 기자 uletmesmile@kmib.co.kr
‘뇌경색’, 노인질환 부동의 1위
입력 2010-02-19 1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