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식품과 의약품, 화장품 등의 변질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보존료 등 첨가물이 성호르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9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식품·의약품·화장품에 사용되는 보존료 등 16종의 성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안전평가원은 외국의 세포 연구 보고에서 성호르몬 활성이 있다는 16종의 첨가물을 선정해 자궁·전립선 등 생식기관에 영향을 주는 성호르몬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연구결과, 이들 16종 모두 성호르몬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안전평가원은 이번 연구에서 실험동물인 쥐에 16종 물질을 3일에서 10일 동안 1000mg까지 단기 고용량을 투여한 후 성호르몬으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대상 물질은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 ▲프로피온산 나트륨 ▲프로피온산 칼슘 ▲파라옥시안식향산 부틸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등 보존료 6종, 지방의 산화를 방지하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몰식자산프로필 ▲나린진 ▲페룰린산 등 산화방지제 4종, 향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피온산 에틸 ▲아세토페논 ▲안트라닐산메틸 ▲아니스알데히드 등 착향료 4종, ▲루틴 ▲홍화황색소색소 등 색소 2종 등 총 16종이다.
안전평가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식품·의약품·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물질의 장기(長期) 독성시험 등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과학적인 지원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
“보존료등 첨가물, 성호르몬에 영향 없다”
입력 2010-02-09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