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의대 피부과 김유찬 교수
[쿠키 건강] 피부암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광역동치료가 자외선에 손상돼 노화된 피부를 다시 젊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광역동치료(PDT, Photodynamic therapy)는 빛을 흡수하는 광흡수제를 피부에 바르고 광선(빛)을 쪼이면 산소가 반응하면서 강한 광화학 반응이 일어나 불필요한 조직을 선택적으로 없애는 치료법으로 피부암이나 피부암 전 단계, 여드름 치료에 응용되고 있다.
아주대학교병원 피부과 김유찬 교수는 2006년 1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얼굴에 1~3개의 광선각화증이 있는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광역동치료를 시행한 결과, 광역동치료가 광노화로 인한 증상을 상당히 호전시키면서 피부의 젊음을 찾아주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010년 1월호에 발표했다.
김 교수는 치료 전 조직검사에서 얻은 검체 23개와 치료 후 1개월이 지나 조직검사에서 얻은 검체 23개 총 46개의 검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피부암의 전구증상인 광선각화증 병변 23개 중 19개(82.6%)가 치료되었다.
또한 치료 후 표피의 두께와 진피 내 염증세포가 감소했을 뿐 아니라 부족하면 주름살의 원인이 되는 진피 내 아교질(collagen)의 양이 상당히 증가했다.
아교질의 생성에 관여하는 1형 및 2형 전아교질(procollagen)의 양도 증가했으며, 섬유모세포를 자극해 아교질의 증식에 관여하는 표피 내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및 2형 TGF-β 수용체도 증가했다.
햇빛에 탄력섬유가 손상 및 증식, 변성되는 증상인 일광 탄력섬유증이 호전되었고, 탄력섬유증의 발생과 관련되는 피브릴린-1이 진피 내에서 감소했다.
이와 함께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어 아교질의 파괴에 관여하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 1,3,12가 모두 감소하는 등 아교질이 증가하고 탄력섬유증이 호전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김유찬 교수는 “이번 연구는 광노화와 연관된 여러 지표를 면역 염색을 통해 알아본 것으로 광역동치료가 광노화된 피부를 젊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며 “따라서 앞으로 피부암이나 여드름 치료뿐 아니라 광노화된 피부의 치료에도 광역동치료가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트리뷴 조현미 기자 hmcho@medical-tribune.co.kr
광역동치료, 햇빛노화 피부에 ‘재생효과’
입력 2010-01-11 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