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15일 일본을 향해 ‘새로운 미래’를 제시했다. 북한이 한국과 쿠바의 수교에 대한 대응조치로 북·일 관계 개선을 내건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김 부부장은 일본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일본인 납치 문제를 의제로 삼지 않야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일본이 북한의 요구 조건을 수용할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김 부부장은 “일본이 악습을 털어버린다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수상이 평양을 방문하는 날이 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김 부부장은 “우리(북한) 국가지도부는 조일(북·일) 관계 개선을 위한 그 어떤 구상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접촉에도 아무런 관심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앞으로 기시다 수상의 속내를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일본에 공을 넘겼다.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1970∼1980년대 요코타 메구미(1977년 실종 당시 13세) 등 자국민 17명이 북한으로 납치돼 12명이 북한에 남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북한은 12명 중 메구미를 포함해 8명이 사망했고 4명은 아예 오지 않았기 때문에 해결할 문제가 없다고 맞서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오랜 우방인 쿠바가 한국과 전격적으로 외교관계를 수립한 사실을 막판까지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 수교 발표 다음 날인 15일 북한 노동신문 등 주요 관영 매체는 관련 소식을 전혀 다루지 않았다.
북한과 쿠바는 피델 카스트로 전 국가평의회 의장이 혁명에 성공한 지 1년 뒤인 1960년 8월 외교관계를 맺어 올해 수교 64주년을 맞았다. 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올해 1월에도 쿠바 혁명 65주년을 축하하는 장문의 축전을 보냈다.
또, 북한은 14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 생일 82주년을 기념해 만수대의사당에서 북한 주재 외교관을 초청해 경축 연회를 열었다. 북한 주재 쿠바 대사도 참석했다. 그러나 북한 관영 언론들은 외교단 소식을 전하면서 쿠바 대사는 언급하지 않아 한국과 쿠바의 수교에 불쾌감을 드러낸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됐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