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3% “직장 내 갈등, MZ세대와 가장 많아질 것”

입력 2024-02-16 04:09
자료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민 10명 중 4명은 직장 내 여러 갈등 중 ‘MZ세대와의 갈등’이 가장 많아질 것으로 전망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앙노동위원회는 15일 노동위원회 설립 70주년을 맞아 진행한 ‘노동환경 변화와 노동위 역할’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에는 노·사·공익위원 및 조사관 727명과 직장인·사업주 등 국민 3015명이 참여했다.

기업 내부적으로 ‘채용, 퇴직, 근로조건을 둘러싼 갈등이 더 많아질 것’이라고 여기는 응답은 위원·조사관 85.3%, 국민 79.8%였다. 젊을수록 동의율이 높게 나타났고,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 근로자가 기업 내부 갈등을 크게 인지하고 있었다.

‘가장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직장 내 갈등 항목’ 질문에선 위원·조사관과 국민 모두 ‘MZ세대와의 갈등’을 1위로 꼽았다. 특히 위원·조사관(35.5%)보다 국민(43.3%)이 MZ세대와의 갈등을 더 크게 의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조사관은 2위로 직장 내 괴롭힘(31.9%)을 꼽았고 해고 징계(28.6%), 성희롱·성차별(1.1%) 순이었다. 반면 국민은 2위가 해고·징계(30.6%)였고 성희롱·성차별(8.8%), 직장 내 괴롭힘은 0.1%에 그쳤다. 이 순위는 성별·연령대·직위·직장 규모별 모든 구분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 등에 따라 ‘직장이동이 더 많아질 것’이라는 데 동의한 비율은 위원·조사관 80.8%, 국민 76%였다. 특히 30대는 81.4%가 동의한 데 비해 60대 이상은 67.5%에 머물러 젊은층일수록 직장이동 가능성을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위원회의 역할에 대한 국민의 기대는 ‘취약계층 권리 구제’(72.5%) ‘당사자들의 자율적 분쟁 해결 지원’(68.4%) ‘노조 보호 강화’(59%) 순으로 높았다. 중앙노동위는 “노동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며 설문조사 참여 인원이 직전 ‘직장 내 고충’ 조사보다 3배 이상 증가했다”며 “여성, 평사원, 중소기업 근로자일수록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세종=박상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