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초저출생 대응을 위해 난자동결 지원 대상을 2배 이상 확대한다. 특히 임신 확률이 높은 20대에 대한 지원 기준을 완화해 이들이 출산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도울 계획이다.
서울시는 20~49세 여성이 난자동결을 희망하면 시술비 절반, 1인당 최대 200만원을 지원하는 ‘난자동결시술비용 지원사업’ 대상을 지난해 300명에서 올해 650명으로 두 배 이상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난자동결은 건강한 난자를 채취해 초저온 상태에서 보관하다가 필요할 때 해동해 사용하는 시술이다. 하지만 국민건강보험 급여항목에 해당하지 않아 비용이 많이 든다.
시는 이에 손해보험협회로부터 30억원(2023~2026년)을 지원받아 지난해 9월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30~40대의 경우엔 난소기능수치(AMH)와 상관없이, 20대는 수치가 1.5ng/㎖ 이하인 경우 지원했다. 하지만 20대는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아 사업 시행 후 시술비 수혜를 받은 비율이 8.2%(18명)에 불과했다.
서울시는 20대 대상 난소기능수치 기준을 1.5ng/㎖ 이하에서 3.5ng/㎖로 완화하기로 했다. 또 난소기능 저하 유발 질환을 진단받은 사람에 대해선 수치와 상관없이 난자동결 지원을 보장한다. 시는 사업시작 시점인 지난해 9월 이후 시술한 경우도 전문가들의 서류확인 등 절차를 거친 후 대상으로 인정받으면 완화된 기준으로 소급 지원 계획이다.
김태희 시민건강국장은 “심각한 저출산 상황에서 아이를 간절히 바라는 시민에 대해서는 서울시가 동행하며 전폭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경력보유여성을 대상으로 구직지원금·인턴 활동 등을 지원하는 ‘서울우먼업프로젝트’를 통해 2610명의 경제활동 복귀를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30만원씩 3개월간 지원하는 구직지원금의 경우엔 양육자를 우선 선정해 지원한다. 육아와 경력복귀 준비를 병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만큼 자녀 수를 가점 심사해서 선정할 계획이다. 또한 육아제도 확대추세에 발맞춰 육아휴직자를 경력보유여성으로 대체하는 ‘경력채움형’ 인턴십 지원사업도 시범적으로 추진한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