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가 현역 의원 평가 ‘하위 20%’ 명단 통보를 두고 막판까지 고심을 이어가고 있다. 임혁백(사진) 공천관리위원장은 13일 “선거구 획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경선을 할 수 없다”며 “(하위 20%) 발표도 선거구 획정과 맞물려 좀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공관위는 13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경선 후보자 심사를 진행했다. 임 위원장이 설 연휴 이후로 미뤄둔 하위 20% 명단 통보는 이뤄지지 않았다.
임 위원장은 이날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하위 20% 통보와 관련해 “아직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하위 20%에 걸린 분들도 경선 기회를 줘야하기 때문에 그 일정과 맞물려 있는데 선거구 획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경선을 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통보도 하기 전에 경선을 하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선거구 획정 마무리가 하위 20% 명단 통보의 전제조건이라는 것이다. 민주당은 오는 19일부터 1차 경선 지역에 대한 권리당원 투표와 여론조사를 앞두고 있다.
임 위원장은 ‘윤석열정부 탄생 책임론’ 발언이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겨냥했다는 논란에도 입을 열었다. 그는 “어느 특정인을 거론한 적이 없다”며 “제가 그 분 보고 불출마하라고 한 적도, 이름을 거론한 적이 없다”고 일축했다.
임 위원장은 이어 “임 전 실장이 신청한 서울 성동갑은 제가 공관위원장으로 오기 전 이미 전략지역으로 설정돼 있었다”며 “전략지역으로 설정되면 전략공관위원회에서 처리하게 돼 있다. 공관위와 전혀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이재명 대표는 3선의 인재근 의원, 친명(친이재명)계 문학진 전 의원 등 전현직 의원들에게 직접 불출마를 권한 것으로 알려지며 논란이 불거졌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진보당, 새진보연합, 시민사회단체 대표인 ‘연합정치시민회의’와 첫 연석회의를 열고 진보 진영 비례연합정당 창당 방안을 논의했다. 이들은 회의 후 발표한 합의문을 통해 정책적인 연합을 비롯해 비례대표 추천, 지역구 후보 연합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같은 지역구 내 진보 진영 후보 간 단일화 경선을 치르거나 군소정당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있는 지역구에서 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시민사회단체는 후보를 내지 않는다.
통합의 한 축인 녹색정의당은 참여 여부를 고심하고 있다. 현재 지지율대로라면 독자 생존이 쉽지 않지만 그렇다고 민주당 주도 비례 정당에 합류하자니 의석을 얼마나 확보할 수 있을지 불분명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민주당 민주개혁진보 선거연합 추진단장인 박홍근 의원은 녹색정의당에 동참을 촉구했다.
박장군 이동환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