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3곳 이상에서 동시에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가 45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자는 고금리에 특히 취약해 금융 당국이 집중 관리하는 대상이다.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은행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으로 전체 가계대출자(1980만명)의 23%를 차지했다. 다중채무자의 1인 평균 대출액은 1억2630만원이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은 1.5%로 추산된다. 2019년 9월 말(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차주(돈을 빌린 사람)가 한 해 동안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평균 58.4%에 이른다. 연소득의 60%를 빚 갚는 데 써야 한다는 의미다. DSR이 70%를 넘는 이들도 26.2%에 달했다. 14.2%는 100%를 웃돈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소득(하위 30%)과 신용도(664점 이하)까지 낮은 취약차주 상황은 더 안 좋다. 전체 가계대출자의 6.5%를 차지하는 취약차주 3분의 1 이상은 DSR이 70%를 넘는다. 한은은 “취약차주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등 한국경제 ‘약한 고리’의 건전성이 낮아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