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7일 방영된 KBS 신년 특별대담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의 통화 사실을 전하면서 “(한 위원장에게) 선거 지휘나 공천 등 이런 데에는 관여하지 않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또 “대통령도 여당에 대해서는 당정협의라는 정책 공조, 또 여당의 소위 ‘1호 당원’으로 중요한 당원”이라면서도 “엄연히 당의 지도부라는 것과 대통령실은 별개로 돼 있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그동안 제기된 수직적 당정 관계 논란을 차단하면서 ‘당(黨)은 당대로, 정(政)은 정대로’ 각자 역할에 충실하면 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갈등설이 일었던 한 위원장과의 소통과 관련해 “최근에 통화한 적은 없다”면서 “비대위원장 취임할 무렵 (한 위원장과) 통화를 좀 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한오섭) 정무수석 등이 (한 위원장과) 필요한 소통을 하고 있다”면서 “(내가) 직접 전화를 하면서 (소통을) 하기는 한 위원장의 입장이 있기 때문에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어 “대통령이나 당의 대표 위치에 있는 사람이나 결국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일을 해야 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이런 사사로운 이런 게 중요하지 않다”면서 “그런 걸 앞세워서 어떤 판단을 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오는 4월 10일 총선에 출마하는 대통령실 출신 인사들이 공천에서 ‘후광효과’를 얻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후광이 작용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윤 대통령은 “한 위원장이 취임할 때도 당과 대통령실이 얼마나 거리를 두느냐가 총선 승리의 관건이라는 식으로 언론에서 계속 얘기를 하는데 대통령실 후광이라 하는 게 있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총선에 나간 분들은 다 정치의 뜻이 있었던 사람들”이라며 “제가 막을 수는 없지만 ‘특혜라는 건 아예 기대도 하지 말고 나 자신도 그런 걸 해줄 능력이 안 된다. 공정하게 룰에 따라 뛰라’고만 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영수회담에 대해서는 “제가 우리 당(여당) 지도부를 배제한 상태에서 야당 대표와 지도부를 직접 상대한다는 건 대통령으로서 집권 여당 지도부와 당을 소홀히 하는 처사”라며 부정적인 의사를 재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도 “먼저 (여야가) 대화를 좀 나누고 행정부를 대표하는 대통령의 결심사항이 필요한 거라든지 그런 단계가 됐을 때 같이 얘기를 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여지를 남겨뒀다.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대해서도 윤 대통령은 “어쨌든 재판이 진행 중인 것들은 있지만, 정치는 정치고 그건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말했다.
지난달 발생한 이 대표와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 등 정치인 테러에 대해 윤 대통령은 “하루 이틀의 문제가 아니라 수십 년 쌓여온 것”이라며 “그런 반지성주의, 거짓과 가짜에 터 잡아서는 민주주의가 제대로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종선 신용일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