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준위성정당’ 창당 잰걸음… “내달 초까지는 후보 결정”

입력 2024-02-07 04:06
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에 참석해 정청래 의원과 웃으며 대화하고 있다. 민주당은 의총에서 이 대표가 전날 발표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 및 범야권 통합비례정당 창당 방침을 만장일치로 추인했다. 이병주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6일 4·10 총선용 준위성정당 창당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이재명 대표가 전날 발표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 통합형비례정당 추진’ 방침을 만장일치로 추인하고 곧바로 실무작업에 돌입한 것이다.

홍익표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의원들은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 결정 사항에 만장일치로 뜻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행 연동형 비례제를 바탕으로 통합비례정당을 빠른 시일 내에 만들어 윤석열정부 심판을 위해 함께하는 모든 정당, 정치단체들과 뜻을 모아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는 특히 “4년 전 민주당이 했던 위성정당과 통합비례정당은 성격이 조금 다르다”며 “그때는 민주당을 중심으로 해서 모든 정당이 빠진 상태였지만 이번에는 제3당 중 주요 정당이 함께하는 방향으로 통합비례정당을 구성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비례대표 확보를 위한 꼼수 위성정당을 또다시 만든다는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민주당은 이날 통합형비례정당 창당 관련 첫 실무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이 대표를 비롯해 조정식 사무총장, 천준호 당대표 비서실장, 한병도 전략기획위원장, 박홍근 전 원내대표 등이 참석했다. 민주당은 ‘민주개혁진보 선거연합 추진단’을 꾸려 관련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 대표는 이날 추진단장에 박 전 원내대표를 내정했다.

민주당은 향후 기본소득당·열린민주당·사회민주당 등으로 구성된 새진보연합과 진보 성향 시민사회단체들과 창당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녹색정의당과 진보당이 참여할 가능성도 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영배 민주당 의원은 MBC라디오에서 “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는 3월 21일 전에는 정비가 다 끝나야 하지 않겠느냐”며 “3월 초까지는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국민께 보고를 드릴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통합형비례정당이 구성되기까지는 여러 난관이 예상된다. 일단 비례대표 후보 앞 순번을 소수정당 몫으로 비워둘지부터 논의해야 한다. 민주당은 지난 21대 총선에선 비례 순번 1~10번을 시민사회 추천 후보와 용혜인 당시 기본소득당·조정훈 시대전환 의원에게 양보했다.

후보자 검증도 난제다. 선거를 코앞에 두고 자격 미달의 후보들이 몰리면 검증 실패 논란이 되풀이될 수 있다. 민주당의 재선 의원은 “통합비례정당에 참여하는 정당들이 후보 검증을 위한 통합된 기준과 틀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조국 신당’ ‘송영길 신당’ 등과의 연대 여부도 쟁점이다. 홍 원내대표는 조국 신당 등도 연대 대상이냐는 질문에 “구체적으로 어디라고 특정 지은 상태는 아니다”며 “정당의 형태를 띤 제 정당과 우선 협의하고 시민사회와 같이 논의해 가면서 함께할 분들이 어디까지인지 결정할 생각”이라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