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무전공(전공자율선택) 입학생 중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중도 이탈하는 비율이 평균 대비 최대 5배 많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했다가 원하는 전공을 배정받지 못하면 학교를 관두고 다른 길을 찾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가 국고 지원을 내걸고 대학에 무전공 확대를 독려하고 있는데, 세심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4일 종로학원이 지난해 공시된 대학정보공시(대학알리미)를 분석한 결과, 서울 주요 대학에 ‘자유전공학부’ 또는 계열·단과대학 단위의 ‘광역선발’로 입학한 학생들의 중도이탈률은 학교 평균보다 최대 5배 높았다. 중도이탈률은 미등록, 미복학, 자퇴 등으로 학교를 관둔 학생 비율이다.
연세대는 융합과학공학부(자연계) 중도이탈률이 15.6%로 대학 평균(3.0%)의 5배 수준이었다. 고려대는 자유전공학부 중도이탈률이 5.8%로 대학 평균(3.4%)보다 높았다. 성균관대와 서강대에서도 광역선발로 입학한 인원의 중도이탈률이 평균보다 최대 4배 많았다. 서울대는 격차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평균 중도이탈률이 1.9%인데 자유전공학부와 인문계열은 각각 1.8%, 4.9%였다.
교육부는 신입생 4명 중 1명을 무전공으로 뽑으면 국고 배분 시 진행하는 대학 평가에서 등급이 1~2단계 오르도록 가점을 주기로 했다. 등록금 동결로 정부의 재정 지원이 절실한 대학 입장에서는 무전공 선발 확대를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받아들이고 있다. 무전공 확대 정책은 학생들의 전공 선택의 폭을 넓혀 전공과 직업의 ‘미스매치’로 발생하는 사회적 낭비를 줄인다는 취지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원하는 전공에 진입하지 못하면 학업을 중단할 가능성이 커져 또 다른 사회적 낭비를 초래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