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달 14일 동해상으로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쐈을 때 한·미·일 3국의 북한 미사일 경보정보 실시간 공유체계가 처음 적용됐지만 일본이 미사일을 끝까지 추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요미우리신문이 4일 보도했다.
당시 미군 위성이 북한 미사일을 탐지했고, 한국군 레이더가 상승하는 미사일을 추적했으며, 일본 자위대는 한·미 군 당국 정보를 활용해 미사일 궤도를 분석했다. 자위대는 개별적으로 취득한 북한 미사일 정보를 즉시 한국 측에 제공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19일부터 가동된 한·미·일 북한 미사일 경보정보 실시간 공유가 처음 적용된 사례다. 북한 IRBM을 동해에서 일본 이지스함 탑재 미사일로 요격하려면 일정 시간 추적이 필요한데, 그 시간이 크게 단축됐다는 평가가 일본에서 나왔다. 자위대는 “사각지대였던 수평선 너머에서 한국군이 포착한 북한 미사일 정보가 즉각 공유돼 빠르게 레이더로 추적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일본 방위성 관계자는 “미사일 레이더 추적까지 1초라도 단축할 수 있다면 요격 성공률은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본 방위성은 미사일 비행거리를 두고 한국 정부와 차이가 큰 분석을 내놓으며 추적·감시 능력의 미진함을 노출했다. 당시 방위성은 북한 미사일이 약 500㎞ 비행했다고 밝혔지만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1000㎞라고 발표했다. 요미우리는 “북한 미사일이 변칙 궤도로 저공비행하는 극초음속 무기였던 탓에 레이더망이 끝까지 잡아내지 못한 게 요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확한 탄착 지점까지는 포착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요미우리는 “한국 발표대로 1000㎞를 비행했다면 일본 영토는 사정권에 들어와 안보를 위협받게 된다”며 “한·미 레이더 정보의 즉각적 공유를 활용하면서 자위대의 탐지·요격 능력을 반드시 한층 더 발전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 내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 진전에 대한 위기감이 강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