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에 응징” “확전 피해야”… 美 보복 딜레마

입력 2024-01-31 04:07
토니 블링컨(오른쪽) 미 국무장관과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이 29일(현지시간) 워싱턴 국무부 청사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시작하며 악수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미국이 미군 3명의 목숨을 앗아간 친이란 민병대의 드론 공격에 대한 보복 의지를 강조하면서도 이란과의 확전은 원치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에서 강력한 응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분출하는 가운데 조 바이든 행정부는 대응 수위를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29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회담한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언급했듯 우리는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며, 이는 여러 수준에서 단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또 “우리는 중동의 갈등을 이용하고 확대하려는 누구에게든 ‘하지 말라’는 분명한 경고를 보내왔다”며 “우리 군대를 공격한 사람에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중동은 현재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휘발성이 높다. 우리는 이라크·시리아·예멘의 테러단체 역량을 억제하기 위한 조처를 해왔다”면서 “동시에 바이든 대통령은 중동에서 갈등 확산을 방지하고자 한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우리는 갈등이 퍼져나가는 것을 막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27일 요르단 북부의 미군 기지를 공격해 40명 이상의 사상자를 낸 친이란 민병대에 대해 보복하되 전면전은 원치 않는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고심은 대응 수위에 있다. CNN은 약한 수준의 대응은 재선 캠페인에 치명적이고, 강력한 대응은 3번째 전쟁을 열 수 있어 바이든 대통령에겐 진퇴양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쉬운 답이 없어서 대통령은 국가안보팀과 만나 여러 선택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