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무탄소 에너지(CFE)’를 핵심 가치로 하는 한국 주도의 국제기구 설립 추진을 공식화했다. 한국 주도 국제기구가 설립된다면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이후 두 번째 사례가 된다. ‘2050년 탄소중립’을 둘러싼 국제사회 담론에서 한국이 우위를 점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29일 CF연합과 정부가 추진하는 CFE 이니셔티브 동향 브리핑에서 “올 상반기 중 무탄소(CF)연합 내 국제작업반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작업반을 통해 프로그램을 만든 다음 국제기구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명박정부 시절인 2012년 GGGI가 국내 비영리재단에서 국제기구로 승격한 것과 같은 선례를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엔 유엔 산하 국제협의체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의장을 8년간 역임하고 지난해 10월 CF연합 회장으로 취임한 이회성 회장의 의중도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정부는 CF연합의 국제기구 추진을 통해 CFE 이니셔티브를 국제 규격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 CFE 이니셔티브는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표방한 ‘RE100’과 달리 원전, 수소,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등 다른 무탄소 에너지 사용도 인정한다. 그런 면에서 구글과 유엔 에너지 등이 추진하는 ‘24/7 CFE’와 닮았다. 다만 24/7 CFE와 달리 산업 공정에서의 무탄소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라 폭이 더 넓다. 철강 공정에서 산소를 제거할 때 이산화탄소를 내뿜는 코크스 대신 수소를 사용하는 식의 공정 혁신도 CFE의 범주에 포함하는 식이다. 이 회장은 “전력만 무탄소화하는 것으로는 (탄소중립이) 힘들다”고 강조했다.
관건은 국제사회 호응이다. 지난 10월 CF연합 출범 후 현재까지 아랍에미리트 등 5개국이 지지를 표했고 국내 20개 대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해외 다국적 기업 중 참여 의사를 밝힌 곳은 없다. 이에 대해 강 차관은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기업들도 지난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에 참석해 공감대를 표한 바 있다”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