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개 민원 처리 업무에 AI 활용한다

입력 2024-01-30 04:06
연합뉴스

정부가 AI(인공지능)를 활용해 장문의 정보공개 청구 내용을 요약하고 과거 유사 처리 내역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업무지원 모델을 개발했다.

행정안전부는 날로 증가하는 정보공개 청구를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AI 기반 정보공개 민원 처리 지원모델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정보공개 민원 처리 업무는 전 부처와 지자체 현장에서 일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대표적인 공통행정 중 하나다. 특히 정보공개 청구는 2022년 말 기준 약 182만건으로 2017년 86만건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행안부는 현장 의견 등을 토대로 지난해 8월부터 전 정부기관이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AI 기반 모델 개발을 추진했다.

이번에 개발된 모델은 기존에 개발된 민간 언어모델(LLM)을 행정에 응용해 개발됐다. 민원 내용을 3분의 1분량으로 자동 요약함으로써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요약된 내용의 문맥을 토대로 과거 유사 처리 내역도 자동으로 추출해 제공한다.

행안부 관계자는 “장문의 민원 내용을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담당자가 일일이 검색하지 않아도 자동 추출된 과거 민원처리 내역과 관련 법령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처리시간과 노력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기존 정보공개 청구 내역도 종합적으로 분석해 주제별로 그룹화한다. 개발된 모델은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에 탑재되며 1월 말부터 모든 행정기관이 활용할 수 있을 예정이다.

김준희 행안부 공공데이터국장은 “앞으로도 새로운 기술을 접목해 정부 공통 업무 분야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도를 지속함으로써 정부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