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만화·웹툰을 K콘텐츠의 차세대 주자로 지목하고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 국내 웹툰 플랫폼을 넷플릭스 같은 세계적 플랫폼으로 키우고, 칸영화제 같은 국제적 시상식도 만들겠다고 밝혔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3일 서울 종로구 아트코리아랩에서 ‘만화·웹툰 산업 발전 방향’을 발표하고 2027년까지 만화·웹툰 산업 규모를 4조원, 수출 규모를 2억5000만달러(약 3339억원)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2022년 만화·웹툰 산업 규모는 2조6240억원, 수출 규모는 1억764만달러였다.
문체부는 먼저 한국 만화·웹툰 플랫폼의 국제시장 확장을 지원하고, 글로벌 기업·작품을 전략적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우리 만화·웹툰 기업이 진출하려는 해외 시장 정보를 제공하고 진출 시 컨설팅을 제공하는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 해외 진출 시 필요한 통·번역 지원 예산도 올해 10억원으로 확대했다.
문체부는 올해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만화·웹툰 제작 지원에 32억6000만원, 만화·웹툰 지식재산(IP) 마켓과 국가대표 웹툰 기업 육성에 각각 18억과 15억을 책정했다. 또 올해 민관합동 6000억원 규모의 자펀드를 활용해 만화·웹툰 기업의 IP 사업화를 돕는다.
올 가을에는 만화·웹툰계 대표 축제를 개최한다. 축제 기간에는 ‘국제 만화·웹툰 시상식’(가칭)을 마련해 만화·웹툰계의 칸영화제와 같은 권위 있는 시상식으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웹툰·만화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지원 조직도 강화한다. 오는 3월에 창작자·업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만화진흥위원회가 발족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만화웹툰산업팀이 신설된다. ‘영화 아카데미’ 등을 참고해 2027년 목표로 ‘만화·웹툰 인재 아카데미’(가칭) 설립을 추진하며, 내년에는 웹툰에 특화된 번역가를 양성하는 ‘번역지원센터’(가칭)를 만들 계획이다.
아울러 2012년 제정된 ‘만화진흥에 관한 법률’을 ‘만화·웹툰 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로 전면 개정해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