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의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 ‘K-패스’가 오는 5월 도입된다. 이를 기반으로 각 지방자치단체가 추가 할인 혜택을 부여하는 경기도의 ‘The(더) 경기패스’와 인천시의 ‘I(아이)-패스’도 도입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도 이달 27일부터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정액권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을 시작한다. 정부와 지자체가 앞다퉈 각기 다른 대중교통 할인 정책을 내놓은 만큼 이용자들은 거주지역과 주요 이동수단을 고려해 비용절감 효과를 따져야 실속을 챙길 수 있다.
우선 국토부의 K-패스 사업은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지자체를 포함해 전국 189곳 시·군·구에서 이용 가능한 교통카드다. 현재 시행 중인 알뜰교통카드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K-패스로 월 15~60회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다음 달 일정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다. 환급률은 일반 20%, 청년(만 19~34세) 30%, 저소득층 53%다.
더경기패스와 I-패스는 K-패스를 기반으로 각 지자체에서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교통카드다. 경기도와 인천시는 청년의 범주를 만 19~39세로 확대하고 환급액 상한을 없앴다. 6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도 환급받을 수 있다. 인천시는 고령층의 부담 절감을 위해 만 65세 이상의 환급률을 30%까지 단계적으로 높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K-패스와 이를 기반으로 한 더경기패스, I-패스의 가장 큰 장점은 호환성이다. 3가지 패스 모두 전국의 전철, 시내·마을·광역·농어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민간에서 운영하는 신분당선과 3월 말 개통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동탄~수서 구간의 이용 금액도 환급된다.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는 3가지 패스와 할인 구조가 다르다. 기후동행카드는 일종의 정액 교통권이다. 6만5000원짜리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하면 한 달간 서울시내 전철,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심야버스, 따릉이(공유자전거), 리버버스 등을 금액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따릉이를 제외한 나머지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6만2000원짜리 기후동행카드도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국토부·서울시·경기도·인천시 합동 기자설명회에서 “청년들이 교통비 부담 없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5만8000원 정도의 기후동행카드 청년권도 상반기 중 출시된다”고 밝혔다.
주로 서울 내에서 이동하는 만 35세 이상 시민은 한 달 교통비 8만원을 기준으로 하면 선택이 쉽다. 청년이나 저소득층이 아닌 경우 이용액의 20%를 돌려받아 실질적으로 6만4000원을 부담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보다 교통비가 많이 나온다면 6만5000원의 정액권인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는 게 비용을 줄이는 방법이다.
경기도나 인천에서 서울로 이동이 잦은 시민은 나이에 따른 환급률 등을 고려해 환급액을 따져야 한다. 예를 들어 만 35세의 경기도민 A씨가 경기도에서 서울로 지하철 1회당 1500원을 내고 월 60회 지하철로 이동하면 9만원의 비용이 발생하는데 환급액을 제외하면 실제 들어가는 비용은 6만3000원이다. 그러나 만 40세가 되면 일반 환급률인 20%가 적용돼 동일하게 60회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 7만2000원의 비용을 낸다.
신분당선, 광역버스 등을 자주 이용한다면 K-패스나 더경기패스, I-패스의 활용도가 더 높을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해 서울 지하철을 이용하던 중 신분당선으로 환승하는 경우 개찰구를 넘어갔다가 다른 수단으로 결제한 후 돌아와야 하는 수고로움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후동행카드와 3가지 패스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서울 내에서는 기후동행카드를, 광역버스·GTX·신분당선을 이용할 때는 패스를 이용하는 식이다.
세종=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