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 기간 전담병원으로 지정돼 다른 환자를 받지 못했던 공공의료기관의 적자 폭이 쉽사리 회복되지 않고 있다. 같은 기간 ‘빅5’ 민간 대형병원은 기존 환자에 더해 손실보상금까지 받으면서 실적이 개선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18일 공개한 ‘2022 회계연도 결산서’에 따르면 국립중앙의료원의 ‘의료손실’은 2022년 727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이전이던 2019년에는 340억원 정도였지만 유행 이후 2020년 703억원, 2021년 577억원으로 증가했다.
서울의료원도 2019년 288억원에서 코로나19 유행 직후이던 2020년 828억원, 2022년 815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전체 공공의료기관의 적자 폭은 지난해 기준 3200억원으로 추정된다.
공공의료기관은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이후 기존 환자들이 떠나면서 손실 폭이 커졌다고 주장한다.
조승연 인천의료원장은 “코로나19가 끝났지만 환자 수가 예년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며 “손실보상금도 이제는 다 떨어져서 각 병원이 직원 월급을 못 줄 지경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감염병 이외 다른 분야 의사들이 대거 이탈하면서 환자들이 떠나간 점도 영향을 미쳤다. 한 공공의료기관 관계자는 “다른 분야 의사들도 돌아가며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면서 본인 전공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자 대거 이탈했다”고 말했다.
반면 ‘빅5’ 등 민간 상급종합병원의 실적은 크게 좋아졌다. 코로나19 환자를 추가 치료한 덕분에 정부로부터 받은 손실보상금이 많았기 때문이다. 서울아산병원은 2019년 551억원이던 의료이익이 2022년 1690억원으로 증가했다. 세브란스병원도 2019년 51억원에서 2022년 684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지방의료원 등 공공의료기관 41곳에 대한 예산을 1000억원 확보했다.
조규홍 장관은 지난 17일 경북 김천의료원에서 지역 의료기관장을 만나 “코로나19 극복에 헌신한 지방의료원이 어려움을 겪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지원 의사를 밝혔다.
김유나 차민주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