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신규 원전 4기로 확정… LNG 발전은 더 늘린다

입력 2024-01-18 04:08

정부가 신규 원전 4기 추가 건설 방안을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초안에 포함한다. 10차 전기본에서 비중을 대폭 줄였던 액화천연가스(LNG)발전은 더 늘리기로 했다. 신재생에너지를 보완할 에너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반영됐다.

17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 말 또는 다음 달 초 11차 전기본 초안을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핵심 쟁점이던 원전 확대 폭은 4기로 확정됐다.

새 원전 건설 시기는 시차를 둘 것으로 보인다. 2기는 기존에 확보한 부지를 활용한다는 방침이어서 속도를 낼 가능성이 높다.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강원도 삼척시와 경북 영덕군에 검증된 부지가 있다. 주민 호응이 높은 영덕군이 부지로 유력하다. 이곳은 2017년 신규 원전 4기 건설을 백지화하면서 주민 반발이 컸던 지역이다. 나머지 2기는 신규 부지를 확보해 건설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부지의 안전성 검증과 주민 동의 등 선행 작업이 필요해 시일이 좀 더 걸린다.


11차 전기본 초안에서는 LNG발전도 확대하기로 했다. 10차 전기본에서 LNG발전 비중을 비현실적으로 축소한 점을 보완한다는 취지다. 산업부는 지난해 1월 10차 전기본을 확정하면서 LNG발전 비중을 2036년까지 9.3%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2034년까지 30.6%를 제시한 9차 전기본과 비교하면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 LNG발전은 지나치게 비중이 작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점차 비중이 커지는 신재생에너지의 대체재 역할을 할 수 있어서다. 10차 전기본은 2036년 기준 전체 발전량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30.6%로 제시했다. 주축은 태양광·풍력 발전인데, 흐리거나 바람이 안 불면 전력 생산이 힘들다.

산업부는 이외에 소형모듈원전과 수소연료전지 관련 기술 개발과 투자 확대 방안도 초안에 담을 계획이다.

관련 업계는 이번 11차 전기본을 통해 9·10차 때 문제가 됐던 ‘에너지 편중 현상’ 극복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9차는 신재생에너지, 10차는 원전에 치중했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편중 구조는 전력 공급 안정성 및 에너지 안보를 저해한다. 균형 잡힌 에너지 믹스를 구성해 전력산업에 올바른 신호를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원전과 LNG발전 모두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고 해명했다.

세종=이의재 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