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가 16일 내놓은 공천심사 방안이 파장을 낳고 있다. 특히 동일 지역구 3선 이상 의원에게 경선 득표율이 15% 감산되는 페널티를 주는 데 대해 표정이 엇갈린다.
감점 적용 대상 중진 의원들은 겉으로는 “경선 룰에 따라 잘 준비하겠다”고 말을 아끼는 분위기지만 긴장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이들 지역구에 대통령실 출신 일부 인사들이 출사표를 던지면서 내전 양상도 고조되고 있다. 다만 정치신인과 청년 후보 등은 “가산점 부여 폭이 줄어들었다”면서 “막상 경선에 들어가면 현역을 꺾기 어려울 것”이라고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국민의힘 의원 중 동일 지역구에서 3선 이상을 한 의원은 모두 24명이다. 이 가운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장제원 의원과 서울 종로 출마를 선언한 하태경 의원을 제외하면 실제 경선 감점 대상자는 22명이다.
17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들 중진 지역구에는 대통령실 출신 인사 최소 5명이 출마를 예고했다. 대부분은 정치신인이나 청년, 여성 등으로 경선 가산점 부여 대상이다. 3선 이상 중진은 15% 페널티를 안고 시작하는 반면 정치신인이 가산점을 받을 경우 경선 결과를 장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5선의 조경태 의원 지역구(부산 사하을)에 출마하는 정호윤(44) 전 대통령 공직기강비서관실 행정관은 청년으로 분류돼 양자대결 구도로 경선할 경우 최대 15%의 가산점을 받는다. 조 의원이 15%를 감점당하는 반면 ‘도전자’인 정 전 행정관은 15% 가산점을 받고 경선을 치르는 것이다.
이종배 의원 지역구인 충북 충주에 출마하는 이동석(38) 전 대통령 뉴미디어비서관실 행정관 역시 청년 가산점 대상이다. 김상훈 의원 지역구(대구 서구)에 출마하는 성은경(56) 전 대통령 시민사회수석실 행정관 역시 여성이면서 정치신인으로 분류돼 양자대결이 펼쳐지면 가산점을 10% 받을 수 있다.
대통령실 참모뿐 아니라 검사나 전직 지방자치단체장도 중진 지역구 출마를 노리고 있다.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현역 조해진 의원)에는 박용호(58) 전 창원지검 마산지청장이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박 전 지청장 역시 경선할 경우 만 59세 이하까지 적용 대상인 정치신인 가산점을 최대 7% 받을 수 있다. 한 중진 의원은 “당을 오랫동안 지켜온 중진에게 경선 페널티를 주면서 ‘죄인’ 취급하는 게 바람직한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비영남권 중진 지역구에 출마하는 한 인사는 “현역 의원 프리미엄을 고려하면 지난 총선에 비해 정치신인, 청년의 가산점 폭이 줄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21대 총선 당시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은 정치신인에게 50%, 청년·여성에게 40% 각각 가산점을 줬다.
국민의힘 일각에서는 공관위가 현역 공천 배제(컷오프) 대상자를 하위 10% 이하(7명)로 규정한 것을 두고 공천 탈락한 현역 의원이 개혁신당 등으로 이탈할 것을 우려해 당초 총선기획단이 요청한 컷오프 비율(20%+α)보다 컷오프 폭을 낮춘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이와 관련해 정영환 공관위원장은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역 컷오프 대상자가) 실제 상황에서는 더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영남 중진 물갈이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럴 수도 있겠다”며 “시뮬레이션도 몇 번 돌려봤다”고 답했다.
이종선 구자창 박민지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