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서 다 해주는 온디바이스 AI폰… ‘앱의 시대’ 저무나

입력 2024-01-18 04:05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산호세)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4’ 행사에서 신제품 갤럭시 S24 시리즈를 선보이고 있다. 노 사장은 “갤럭시 S24 시리즈는 스마트폰 시대를 넘어 새로운 모바일 AI폰의 시대를 열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갤럭시 S24 시리즈를 전격 공개하고 스마트폰 시대를 넘어 새로운 모바일 인공지능(AI) 폰의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기기만 있으면 통신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제약 없이도 AI를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온디바이스 AI 상용·보편화의 포문을 연 만큼 기존의 스마트폰 앱이 설 자리를 잃게 되는 앱 종말의 시대가 다가올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산호세)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4’ 행사에서 신제품 갤럭시 S24 시리즈를 단순한 스마트폰이 아닌 ‘AI폰’이라고 정의했다. 그동안 AI 기능을 담은 스마트폰은 많았지만, 성능이 제한적이거나 사용하기 어려워 보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갤럭시 S24는 스마트폰 이용자라면 쉽게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췄다. 사실상 첫 번째로 완성된 보편성을 갖춘 AI 기기인 셈이다.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은 “갤럭시 S24 시리즈는 스마트폰 시대를 넘어 새로운 모바일 AI폰의 시대를 열 것”이라며 “갤럭시 AI는 사용자가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을 바꾸고 무한한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갤럭시 S24는 온디바이스 AI와 클라우드 AI를 결합한 일종의 하이브리드형 AI 스마트폰이다. 온디바이스 AI는 네크워크에 연결하지 않고도 디바이스 자체에서 AI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 기조연설에서 AI의 부상과 함께 클라우드 산업의 종말을 예고했다. “AI가 개인 모바일·PC·차량 등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곧바로 구현되는 시대가 도래하면 그동안 스마트폰에 생명을 불어넣어 준 서비스들이 대격변에 휩싸일 것”이라고 예측이다.

삼성전자가 이날 내놓은 신제품 갤럭시 S24 시리즈도 기본 앱에서 실시간 통역과 번역 등 대다수의 AI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앱 킬러’로 불린다. 국내의 경우 실시간 통역 기능을 제공하는 SK텔레콤의 에이닷, 녹음된 음성파일을 텍스트로 변환시키고 요약 정리해주는 네이버의 클로바노트와 같은 별도의 앱이 불필요해지는 것이다.

갤럭시 S24 시리즈에서는 사진 촬영부터 편집도 기본 앱만으로 전문가 수준으로 할 수 있다. 기본 갤러리 앱에 AI 편집 기능이 담겼기 때문이다. 그림자 및 빛 반사 제거 기능 등 사진에 필요한 편집 요소를 제안해주고 편하게 수행하도록 AI가 돕는다. 촬영 영상의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AI가 자동으로 새로운 프레임을 만들어주는 기능도 새롭게 들어갔다. 편집 기술 없이도 어떤 영상이든 슬로 모션 영상으로 만들 수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제공하는 기본 앱만으로도 업무나 창작 작업 대부분을 수행할 수 있는 시대가 다가왔다”며 “기존 앱 생태계가 상당한 변화를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갤럭시 S24 울트라는 12GB 메모리에 256GB, 512GB, 1TB 용량의 모델이 출시된다. 가격은 각각 169만8400원, 184만1400원, 212만7400원으로 전작에 비해 각각 9만9000원, 12만1000원, 16만5000원씩 올랐다.

새너제이=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