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가 18일 ‘전북특별자치도’로 새롭게 출발한다. 제주, 강원에 이어 세 번째로 출범하는 특별광역자치도다.
17일 오후 전북도청 앞 야외광장에서는 5000여명의 도민이 참가한 가운데 화려한 특별자치도 출범 기념식 전야제가 열렸다. 14개 시·군에서도 ‘함께하는 축하 행사’를 여는 등 전북지역 전체에 잔치 분위기가 달아올랐다. 전주시내를 비롯한 각 시군에는 며칠 전부터 ‘이제 우리는 전북특별자치도민입니다’라는 현수막을 걸어 특별자치도 출범을 자축해왔다.
전북도는 18일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출범 기념행사’를 연다. 각계 인사와 도민 등 2000여명이 참석해 전북의 새로운 역사를 축하하고 도약을 다짐할 예정이다.
특별자치도 출범으로 전북도는 중앙정부 권한 일부를 넘겨받아 다양한 정책을 자체적으로 펼 수 있게 됐다. ‘농생명산업지구’ 지정이 가능해지는 등 농도 대표지역을 산업중심의 도시로 만들 수 있는 발판이 생겼다고 도는 설명했다. 건축 등 사업 행위가 엄격히 제한된 절대 농지와 도립 공원을 변경·해제할 수 있는 권한도 전북도지사가 갖는다.
전북도는 낙후 지역을 개발해 지역 소멸 위기에서 벗어나고 경제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지역 소멸의 위기에 빠져 있던 전북이 새롭게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며 “그냥 농촌이 아니라 농업을 생명산업으로 대전환해 세계로 뻗어가는 전북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관 약칭은 ‘전북자치도’다. 전라북도교육청도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으로 이름이 바뀐다.
전북도는 곧바로 각종 특례 실행을 위한 후속작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333개 특례의 방향 설정과 구체적 실행계획을 세우는 한편 추가 특례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지난해 구성된 특례실행준비단은 생명산업분야 17개 사업을 비롯, 모두 75개 사업에 대한 구상을 짜고 있다.
박현규 전북특별자치도추진단장은 “전북자치도가 독자권역으로의 권한과 위상을 정립해 나가기 위해서는 각종 특례들의 실행력을 확보하고 강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각 시·군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특례들이 지역 비상을 실현시켜 나가도록 꼼꼼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주=글·사진 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