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원(사진) SK그룹 수석부회장은 “원통형 배터리(이차전지) 개발이 꽤 많이 됐다”고 말했다. 또 “SK온 주식시장 상장 시점은 대내외 여건상 당장 예상하기 쉽지 않지만, 가능한 시기가 오면 되도록 빨리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 수석부회장은 10일(현지시간) ‘CES 2024’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들과 만나 “고객마다 요구하는 사양이 다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해 3가지 배터리 폼팩터(파우치형, 각형, 원통형)를 다 개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각형 개발은 이미 완료됐고, 원통형도 고민하다가 개발을 (상당 수준까지) 했다. 양산 시점은 고객들이 원하는 시기에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주력으로 하는 SK온은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고객사를 늘린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최 수석부회장은 지난해 4분기 흑자전환 전망에 대해선 “자동차 시장 자체가 썩 좋지 않아서 원하는 만큼 많이 결과가 나올지 모르겠다. 하지만 최선을 다했다”며 “저희는 내실을 다지는 기회로 삼으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장 계획을 묻는 말엔 “금융시장도 봐야 하고 우리도 준비해야 하는 등 지금은 예상하기가 쉽지 않다”면서도 “가능한 시기가 오면 되도록 빨리하겠다”고 말했다.
최 수석부회장은 CES 2024 개막 이후 빡빡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이날 오전에는 주요 글로벌 기업 부스 투어, 오후에는 비즈니스 미팅에 나섰다. 개막일인 지난 9일엔 SK그룹 부스 ‘SK원더랜드’를 방문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직접 안내하면서 SK그룹의 ‘넷 제로’(Net Zero) 사업을 소개했다.
김민영 기자 m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