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친명계 좌장 정성호 의원이 현근택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성희롱성 발언 의혹과 관련해 징계를 논의하는 문자를 주고받는 장면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현 부원장은 최근 한 정치인의 수행비서에게 성희롱성 발언을 한 의혹을 받고 있다. 그런데 문자를 보면 ‘왜 지금 이걸 정 의원과 상의하는 걸까’ 하는 의구심부터 든다. 이 대표는 문자에서 “현근택은 어느 정도로 할까요”라고 물었고, 정 의원은 “당직 자격정지는 돼야 하지 않을까. 공관위 컷오프 대상”이라고 답했다. 그러자 이 대표는 “너무 심한 것 아닐까요”라고 했고, 정 의원은 “그러면 엄중 경고. 큰 의미는 없습니다”라고 답했다.
현 부원장은 이화영 전 경기도 부지사 변호를 맡은 친명계 인사다. 그는 비명계 윤영찬 의원 지역구에서 출마를 준비 중이다. 이 대표는 지난 7일 그의 출판기념회에 “내가 지켜본 현 부원장은 언제나 절박한 국민의 삶과 함께하는 정치인”이라고 소개하는 글을 보내기도 했다. 이를 감안하면 이 대표는 현 부원장의 출마를 막지 않도록 징계가 정해져야 한다는 의중을 갖고 있다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아울러 당에 윤리감찰단이 있고, 징계 수위도 감찰 결과에 따라 정하는 게 순서인데 사전에 수위부터 논의한 것도 이상하다. 어떤 당직도 맡고 있지 않은 정 의원과 논의한 것도 사당화 시비를 불러일으키는 대목이다. 그가 친명계 중진이라 의견수렴을 했을 순 있다 해도 감찰이 끝나기도 전에 징계 수위까지 상의한 건 상식적으로는 이해하기 어렵다.
비명계는 “완전한 사당화 증거”라며 발끈했다. 이 정도 일로 상의했다면 앞으로 더 중차대한 의원 공천 문제를 정 의원과 상의하지 말란 법도 없다. 이 대표는 이번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다시는 친명계 비호라거나 사당화 비판이 나오지 않도록 처신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유권자들이 이 대표와 친명계에 등을 돌릴 것임은 불보듯 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