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계부채 10조 불었다

입력 2024-01-11 04:05
국민일보DB

지난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10조1000억원 늘면서 1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특히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51조6000억원 급증하며 전년(20조원) 대비 2배 이상 확대됐다.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모기지 증가가 주된 요인이었다. 다만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 추이가 안정적인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금융위원회는 10일 지난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10조1000억원(0.6%) 늘었다고 밝혔다. 가계대출 중 주담대는 은행권을 중심으로 크게 늘어 45조10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주담대 중에서는 특례보금자리론과 같은 정책모기지가 29조4000억원으로 57%를 차지했다.


다만 금융위는 “지난 8년 동안 가계대출은 연평균 83조2000억원 증가했다”며 “예년 대비 매우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은 2021년(105.4%)에서 2022년(104.5%), 지난해 100.8%로 하락했다.

주택 거래량이 꾸준히 줄면서 가계대출 증가세도 당분간 잦아들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12월 가계대출은 2000억원 늘며 9개월 연속 증가세긴 했지만 증가폭은 지난해 4월 이후 가장 낮았다.

그러나 신생아특례대출·청년주택드림대출 등 올해 공급되는 또 다른 정책금융 상품이 가계대출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지난해 11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특례보금자리론이 재개되고 신생아특례대출 등이 새롭게 시행되면서 정책금융이 가계대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 바 있다.

정부는 경제성장률 범위 내에서 가계대출이 관리될 수 있도록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이날 관계부처와 가계부채 현황 점검회의를 열고 DSR 적용 범위 확대 등 제도 개선과 함께 서민·실수요층 대상 정책모기지 지원, 중도상환수수료 가이드라인 마련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