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시철도 공사로 인한 피해가 늘고 있으나 보상절차가 미흡해 주민과 상인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광주시에 따르면 북부권 도심을 원형으로 잇는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공사가 지난달 13일 첫 삽을 뜨는 등 2호선 전 구간 공사가 본궤도에 접어들었다. 앞서 2019년 10월 착공한 남부권 1단계 구간은 7년여의 공사를 거쳐 2026년 말 개통할 예정이다. 2단계는 2029년 개통이 목표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 1, 2단계 공사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이로 인한 직·간접적 재산 피해를 호소하는 민원도 늘고 있다. 2호선 착공 이후 건물 균열과 기울어짐, 누수, 진동 등에 따른 보상을 요구한 민원은 총 29건이 접수된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이 가운데 27건은 ‘기준치 미달’로 판정돼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했다. 이와 별도로 소음·먼지는 물론 상수도관과 차량 파손 등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사고도 잇따르는 상황이다.
광주교통공사는 국토교통부 ‘지하 안전평가서 표준 매뉴얼’을 토대로 현장답사를 벌여 보상 여부를 결정한다고 밝혔다. 계측기 등으로 이상유무를 확인해 기준치 이상인 ‘주의’나 ‘위험’ 판정이 나올 때만 피해보상을 한다는 설명이다.
공사장 인근 주민과 상인들은 “건물 안전에 위험이 생기고 일상생활·영업에 큰 지장을 받고 있는데도 아무런 보상이 없다”며 “교통공사의 ‘찔끔보상’은 책임을 회피하려는 ‘꼼수’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광주시에서 진행되는 공사는 이뿐만이 아니다. 2024년 4월에는 호남고속도로 도심 구간인 동광주IC~광산IC 11.2㎞ 구간의 확장공사가 착공된다. 시는 도시철도 2호선과 호남고속도로 확장공사가 2029년까지 병행돼 공사 기간 최악의 교통혼잡이 불가피하다며 경찰, 자치구와 함께 ‘혼잡도로 교통대응추진단’을 구성했다. 광주시 교통공사 관계자는 31일 “교통혼잡과 민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야간공사 비율을 높이고 있다“며 “피해보상은 향후 공정한 절차를 밟아 적절하게 이뤄지도록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