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 보호지역, 2030년까지 30%로 확대

입력 2023-12-27 04:09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왼쪽 두번째)이 26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 2030년까지 국내 육상·해양의 30%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해 관리하기로 했다. 특히 1.8%에 불과한 해양보호지역 비중을 확대하기 위해 국내 갯벌의 절반 이상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하겠다는 계획이다.

환경부는 26일 세종청사에서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2030 국가 보호지역 확대 로드맵’을 보고했다. 이번 로드맵은 지난해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서 채택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를 이행하기 위해 마련됐다. GBF는 ‘2030년까지 전 지구의 최소 30%를 보호지역 등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내륙보호지역은 17.3%(1만7351㎢)였으나 해양보호지역은 1.8%(7968㎢)에 불과했다. 정부는 보호지역을 늘리기 위해 내륙습지 정밀조사, 국가 산림자원조사, 문화재 기초조사 등을 통해 보호지역 후보지 조사·발굴을 강화하기로 했다. 육상 국립공원 면적은 2032년까지 5351㎢로 확대한다. 2021년(3973㎢) 대비 34.6% 늘어난 수치다.

해양의 경우 해상·해안 국립공원 및 연안 습지보호지역을 늘리고, 무인도서와 갯벌처럼 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갯벌은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1318㎢)을 보호구역으로 관리한다. 보전이 시급한 10곳은 갯벌관리구역을 지정해 관리하게 된다. 이렇듯 적극적인 확대 조치로 2025년에는 10%, 2028년 20%, 2030년 30%까지 해양보호지역을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