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개입 여론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온라인매체 ‘뉴스버스’의 이진동 대표를 압수수색했다. 앞서 김용진 뉴스타파 대표에 이어 이 대표까지 압수수색하면서 검찰의 허위보도 의혹 수사가 언론사 윗선으로 확대되는 모습이다.
서울중앙지검 대선개입 여론조작 사건 특별수사팀(팀장 강백신 부장검사)은 26일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이 대표의 주거지와 뉴스버스 사무실에 있는 이 대표 PC를 압수수색했다.
뉴스버스는 2021년 10월 21일 기사에서 당시 국민의힘 유력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이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건을 수사하면서 대장동 대출 브로커였던 조우형씨 사건을 무마해줬다는 취지의 허위 보도를 한 의혹을 받는다. 뉴스버스는 보도 근거로 2013~2014년 경기경찰청의 조씨 진술조서와 대장동 초기 사업자 이강길씨 인터뷰 등을 제시했다.
검찰은 해당 보도가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와 이 대표가 공모한 허위 보도라고 본다. 검찰은 압수수색 영장에 ‘30년 이상 알고 지낸 두 사람이 해당 보도가 이뤄지기 전 수차례 통화를 주고받았다’는 내용을 적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10월 26일 해당 기사를 작성한 뉴스버스 전 기자 A씨를 압수수색 한 뒤 두 달 만에 이 대표로 수사 범위를 넓혔다.
뉴스버스는 입장문을 내고 “검찰의 이 대표 압수수색은 보복적 언론탄압”이라며 “하나회를 연상시키는 윤석열 사단 검사들이 대통령 주문에 따른 하명수사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검찰은 이날 이성문 전 화천대유 대표이사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대선 당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게 우호적인 인터뷰를 한 배경도 조사했다. 이 전 대표는 2021년 9월 18일 한 언론사 인터뷰에서 “이재명을 모른다. 법정에서 딱 한 번 봤다”며 “성남시는 대장동 개발사업에서 자기들은 절대 손해 안 보고 사업이 망하든 흥하든 원하는 수익을 다 뽑아가는 구조를 만들어 놨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 같은 인터뷰가 당시 김만배씨가 대장동 관련자들에게 “이재명 후보와 대장동 의혹은 상관이 없다는 취지로 언론에 얘기하라”고 지시한 결과라고 의심한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