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의 독과점 구조를 깨기 위한 제4 이동통신사 유치전이 3파전으로 압축됐다. 이번에도 대기업 신청자는 없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5세대(5G) 28㎓ 신규 사업자 주파수 할당 신청을 마감한 결과 세종텔레콤, 스테이지엑스, 마이모바일컨소시엄 등 3개 법인이 신청했다고 밝혔다.
세종텔레콤은 이날 오전 가장 먼저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 회사는 B2B 사업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텔레콤은 “정부 정책에 호응하면서 회사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 전략에 따라 주파수 할당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일찌감치 신청 의사를 밝혔던 미래모바일은 협력사들과 ‘마이모바일 컨소시엄’을 꾸려 입찰에 참여했다. 미래모바일은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때도 제4 이통사에 도전했지만 탈락했다.
카카오에서 계열 분리된 스테이지파이브는 신한투자증권,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세의료원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신규 법인 ‘스테이지엑스’을 통해 입찰에 참여했다. 회사는 3년간 90개의 핫스팟에 6000여개 이상의 무선기지국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스테이지엑스는 국내 통신 시장 경쟁 활성화, 가계통신비 절감, 5G 28㎓ 기반 혁신 생태계 구축이라는 3대 목표를 세웠다.
과기정통부는 신청 법인을 대상으로 전파법과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른 결격 사유가 있는지 검토하고, 해당 법인들에 적격 여부 통보를 완료한 뒤 주파수 경매를 개시할 계획이다.
이번에도 대기업 신청자는 나오지 않았다. 업계에선 포화된 통신 시장에서 신규사업자가 수익을 내기 어렵다는 점에서 예고된 흥행 실패라는 평가가 나온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