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4일 발표한 ‘장래인구 추계: 2022~2072년’에 따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50년 뒤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든다. 일할 사람이 줄어드는 건 단순히 경제 규모가 작아지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이미 저성장 구간에 진입한 한국의 잠재성장률 추가 하락이 불가피하다.
장래인구 추계 결과 올해 3657만명인 생산연령인구는 향후 10년간 332만명 감소해 2072년이 되면 1658만명으로 감소한다. 지난해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71.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그러나 50년 후에는 그 비중이 45.8%까지 낮아져 OECD에서 꼴찌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고령 인구로 넘어가는 2020년대부터 생산연령인구는 빠르게 감소하고 고령 인구는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2020년대에는 연평균 32만명, 2030년대에는 연평균 50만명의 생산연령인구가 줄어드는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경제활동 연령대인 25~49세 인구의 감소도 두드러진다. 25~49세 인구는 올해 1849만명이었으나 2072년에는 764만명까지 줄어든다.
이미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 절벽이 잠재성장률을 위협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지난 3일 ‘초저출산 및 초고령사회’에서 지금과 같은 출산율이 지속할 경우 2050년대 경제성장률이 0% 이하일 가능성도 68%에 이른다고 봤다.
고령화에 속도가 붙으면서 부양 부담은 본격적으로 심화할 전망이다. 저출산 심화로 유소년 인구가 줄어들지만 고령 인구가 그보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총부양비(생산연령인구 100명당 유소년·노년 부양인구)는 지난해 40.6명이었으나 2058년이면 100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2072년에는 118.5명으로 OECD에서 가장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총부양비에서 유소년을 제외한 노년 부양비가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2072년이면 전체 인구 중 절반 수준(47.7%)이 고령 인구가 될 전망이다. 이에 노년 부양비는 104.2명까지 높아진다. 생산연령인구 1명이 고령 인구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 오는 것이다.
문제는 인구 반등의 전환점이 자꾸 늦춰진다는 점이다. 통계청은 출산율이 2025년까지 0.65명으로 하락한 뒤 상승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했다. 2020년 추계에서는 내년에 0.70명으로 최저점을 기록한 후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반등 시점이 늦어지고 최저 출산율도 낮아졌다. 이영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은 “반등 시점을 늦춘 것은 그만큼 반등이 쉽지 않다는 뜻”이라며 “출산율 반등을 위한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통계청은 코로나19 이후 결혼이 늘면서 출산율 또한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이 또한 장밋빛 전망에 가깝다.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는 지난해 46.4%로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였다. 평균 자녀 수도 0.65명으로 가장 적었다.
국제 인구 유입을 기대하기도 쉽지 않다. 지난해 15만명 수준이던 국제유입 인구는 2072년 6만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세종=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