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 대응 ‘로봇 100만대 보급’… 민관 3兆 투자 추진

입력 2023-12-15 04:06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 '첨단로봇 산업 전략회의'가 열린 경기도 성남시 판교 만도넥스트M 사옥에 전시된 순찰로봇 골리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030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3조원가량을 투자해 국내 첨단로봇산업 시장 규모를 20조원대까지 키울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 산업 분야에 로봇 100만대 이상을 보급한다는 목표다.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생산인구감소 현상에 대응하려는 조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첨단로봇은 자동차·조선 등 제조업과 항공, 서비스업 등 산업 전반에 활용 가능한 신사업으로 꼽힌다. 전 세계 로봇 시장 규모도 2021년 282억 달러에서 2030년 831억 달러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한국은 제조업 종사자 1만명당 로봇 수를 말하는 ‘로봇 밀도’ 기준으로 이미 전 세계 1위다. 그러나 국내 로봇은 자동차와 전기·전자 등 특정 제조업 분야에만 집중돼 있다. 또 2021년부터 2030년 사이 한국의 생산인구는 약 320만명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로봇 시장 육성으로 산업 전반에서 발생할 노동력 부족에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2021년 기준 5조6000억원 수준인 로봇 시장 규모를 2030년까지 20조원 이상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민관 합동으로 3조원 이상의 자본을 투자한다. 감속기와 자율조작 등 8대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내년 상반기에 기술개발 로드맵을 짜기로 했다.

로봇 전문인력은 2030년까지 1만5000명가량 더 육성해 5만명 규모로 키운다. 매출액 1000억원 이상인 지능형 로봇 전문기업도 현재 5개에서 2030년 30개 이상으로 늘린다.

로봇 100만대 이상 보급도 정부 목표 중 하나다. 7년 후까지 요양원·병원과 음식점 등 자영업 분야에 각각 30만대씩의 로봇이 보급된다. 로봇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성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는 2028년까지 2000억원을 들여 대구에 ‘국가로봇테스트필드’도 조성한다.

정부는 내년에 로봇 전용 보험과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도 선보일 예정이다. 정부는 로봇을 활용한 택배·배송 서비스를 허용하는 등 로봇 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완화도 검토하고 있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