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김기현 대표의 전격 사퇴로 발생한 당대표 공백 사태를 신속한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을 통해 수습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을 위기에서 구출하고 내년 4월 총선 승리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는 비대위원장을 임명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 겸 당대표 권한대행은 14일 국회에서 중진연석회의와 최고위원회의를 잇따라 개최했다. 윤 권한대행은 기자들과 만나 “전당대회를 열 상황이 안 된다고 다들 의견을 모아서 비대위 체제로 빨리 지도체제를 구성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냈다”면서 “가급적 빠른 시간 안에 비대위원장을 선임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 권한대행은 비대위원장 인선 기준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 맞고 국민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분, 총선 승리라는 지상과제를 달성할 능력과 실력을 갖춘 분으로 물색해보겠다”고 밝혔다. 윤 권한대행은 비대위원장의 정치 경험 여부와 관련해 “정치인인지 아닌지는 선택을 결정하는 기준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윤 권한대행은 유력하게 거론됐던 ‘공동비대위원장 체제 가능성’에 대해서는 사견을 전제로 “한 명이 하는 것이 조직 운영에 훨씬 효율적”이라며 거리를 뒀다.
관심은 누가 비대위원장이 될지에 쏠린다. 여권에서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나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대위원장, 인요한 전 혁신위원장, 이양희 전 국민의힘 윤리위원장 등이 거론된다.
이와 관련해 국민의힘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을 방침이다. 윤 권한대행은 “지금 거명되는 분들 외에도 더 좋은 분이 있을 수 있지 않겠느냐”며 “다양한 경로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늦어도 이달 말 비대위 출범을 목표로 ‘속도전’을 펼칠 계획이다. 당헌·당규에 따라 내년 1월 10일까지 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해야 하는 만큼 선결과제인 비대위 구성을 서두르겠다는 것이다. 김 전 대표가 추진했던 공관위원장 등 인선 작업은 ‘원점’에서 재검토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위기는 곧 기회’라는 기류가 있다. 혁신에 성공할 경우 반등의 기회가 마련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다. 윤희석 선임대변인은 SBS라디오에서 “지금 저희가 밟고 있는 여러 과정들이 결국 국민들 눈에는 변화의 움직임으로 인식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수도권 의원은 “위기를 미리 겪는 것도 나쁘지 않다”면서 “내년 4월 총선까지 아직 시간은 충분하다”고 밝혔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