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녹조 현상으로 조류 경보가 발령된 날이 지난해 대비 3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강우량 증가와 함께 야적퇴비 수거 등 정책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 대책을 확대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12일 올해 전국 조류 경보 일수가 낙동강 칠서지점에서 처음 발령된 지난 6월 8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총 476일이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743일에 비해 267일(36%) 감소한 수치다. 조류경보 일수는 조류경보제를 운영하는 52지점의 경보 발령 일수를 모두 더한 숫자다.
매년 심각한 녹조 현상이 나타나는 낙동강 유역의 변화가 컸다. 낙동강의 조류 경보 일수는 올해 267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65일에 비해 398일(40%) 줄었다. ‘경계’ 경보 일수는 지난해 206일이었는데, 올해는 7% 수준인 14일에 그쳤다. 조류 경보는 ‘관심’ ‘경계’ ‘대발생’ 등 3단계로 나뉜다.
올해는 평균 기온이 전년 대비 0.3도 높았지만 비가 많이 내려 녹조 대응에 유리했다. 누적 강우량은 1722㎜로 지난해의 1.4배 수준이었다. 낙동강 지역 강우량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많았다.
환경부는 댐-보-하굿둑 연계 운영, 야적 퇴비 수거, 녹조 제거선 도입 등 대책도 일부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했다. 환경부는 녹조 대응을 위해 내년 야적퇴비 수거 작업을 금강, 한강, 영산강 등 4대강 수계로 확대할 계획이다. 대형·소형 녹조제거선도 19대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