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까지 ‘한류’의 수혜를 보지 못했던 패션업계에도 ‘K패션’에 대한 기대감이 불고 있다. 해외 시장에서 한국 문화가 인기를 얻으면서 한국 의류에까지 관심이 번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LF는 베트남 하노이 장띠엔 백화점에 남성복 브랜드 ‘마에스트로(MAE STRO)’의 글로벌 2호점 매장을 열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해 9월 베트남 호찌민에 첫 글로벌 매장을 낸 뒤 프리미엄 이미지로 현지의 20~40대에게 좋은 반응을 얻자 하노이까지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올해 하반기 매출은 상반기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누적 매출의 약 40%가 수트 자켓 품목으로 나타났다.
더네이쳐홀딩스는 지난달에만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에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의 오프라인 매장을 3곳 열었고 현재 모두 6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지난 5월 중국에서 합작법인(JV)를 설립하며 의류 사업을 시작한 이후 적극적으로 매장을 늘려가는 중이다. 한국과 달리, 중국에선 베이징·상해 등 핵심 프리미엄 상권에 들어서고 있다. 앞으로 태국, 필리핀 등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패션 플랫폼들도 한국을 벗어나 해외로 나가는 분위기다. 무신사는 지난달 일본 오사카의 한큐백화점 우메다 본점에서 일본에서의 두 번째 팝업을 열었다. ‘미러링 서울’을 주제로 2000아카이브스, 글로니, 기준 등 11개 브랜드가 참여했는데, 7일간 총 2만여명이 방문하면서 큰 반응을 이끌어냈다. 팝업 기간 중 참여 브랜드의 무신사 글로벌 스토어 거래액은 전월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배 이상 증가했다.
에이블리는 지난달 쇼핑몰 창업 지원 솔루션인 ‘에이블리 파트너스’를 글로벌 진출까지 돕는 서비스로 확장했다. 판매자들이 에이블리의 일본 쇼핑 애플리케이션인 ‘아무드’를 통해 손쉽게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무드는 지난해 일본 누적 다운로드 수 300만회를 돌파했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세계 곳곳에서 한국산을 선호하는 ‘K프리미엄’ 시대를 맞아 해외 시장 공략에 힘쓰고 있다”며 “앞으로 K패션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