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나 저축은행 등 1·2금융권에서 돈을 빌리지 못해 대부업체를 찾은 가구주 비중이 4년 만에 다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 신용대출 규모가 축소되면서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저소득층이 질 낮은 대출로 밀려난 것이다.
10일 한국은행·통계청·금융감독원의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지난 3월 기준 신용대출이 있는 가구주 중 ‘기타 기관 등’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9%로 지난해(6.9%)보다 1.0%포인트 올랐다.
‘기타 기관 등’은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우체국·새마을금고 등 비은행금융기관을 제외한 기타 여신업체, 이른바 대부업체를 말한다. 저신용자가 급전을 빌리려 할 때 제도권 내에서 찾는 마지막 창구다.
대부업체 대출 가구주 비중은 2019년 11.4%로 정점을 찍은 후 매년 하락해 지난해 6.9%까지 떨어졌지만 4년 만인 올해 상승세로 전환했다. 같은 기간 보험회사 신용대출 가구주 비중도 전년 0.8%에서 올해 1.1%로 높아졌다. 이 역시 급전 대출의 창구다.
반면 제1금융권인 은행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8.8%로 1.0%포인트 낮아지며 4년 만에 하락 전환했다. 저축은행이나 비은행금융기관 대출 가구주 비중도 각각 0.2%포인트씩 하락했다.
지난해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금리가 오르면서 저축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이 신용대출 규모를 축소하자 신용대출 수요가 대부업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조달·대출금리 상승에 따라 저신용자를 상대로 한 대출이 일부 중단되는 ‘컷오프 현상’이 나타났다.
문제는 고금리 장기화에 대부업도 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대부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8월 나이스(NICE) 신용평가회사(CB) 기준 대부업체 69개사가 내준 신규대출 규모는 950억원으로 전년 동월(3066억원) 대비 69%(2116억원) 감소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