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5주년 여론조사] “정년 61세 이후로 연장 필요” 61%

입력 2023-12-11 04:09

국민 10명 중 6명은 현재 60세인 법정 정년을 61세 이후로 연장해야 한다고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년 이후 국민연금을 받기까지 3~5년의 ‘소득 공백’이 발생하는 만큼 정년을 늘려 노후의 경제적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10일 공개된 국민일보·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1033명 중 61%는 법정 정년을 ‘61세 이후로 연장해야 한다’고 답했다.

‘정년을 현행 60세로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20%, ‘정년 제도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는 14%로 나타났다. ‘정년을 60세 이전으로 앞당겨야 한다’는 의견은 2%에 그쳤다.


법정 정년을 연장해야 한다는 응답은 전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정년 연장의 필요성을 가장 크게 느낀 연령대는 ‘경제 허리’ 역할을 하는 40대였다. 40대의 69%가 정년 연장에 동의해 은퇴와 가장 먼 나이인 18~29세(54%)보다 10% 포인트 이상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그 외 30대, 50대, 60대, 70대 이상은 응답자의 60~61%가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봤다. 현 정부는 법정 정년 연장이 아닌 정년 후 직원을 재고용하는 ‘계속고용 제도’를 논의하고 있는데, 국민 인식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이다. 정치성향별로 ‘보수’ 응답자 중 62%, ‘진보’ 응답자 중 64%가 정년 연장에 동의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여론조사는 국민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실시됐다.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33명을 대상으로 지난 7∼8일 진행됐다. 100% 무선전화 인터뷰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여론조사 대상자는 통신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하는 방법으로 선정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 포인트다. 응답률은 10.9%였다.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가중(셀 가중)이 적용됐다. 이 밖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