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구조 요청, 주소 몰라도 10분 만에 임무 완수

입력 2023-12-07 04:07
윤희근 경찰청장과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6일 오후 서울 도봉경찰서에서 열린 디지털 기술 기반 범죄예방 기술 시연 및 MOU에서 기술 시연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저를 죽이려고 한다. 여기가 어딘지 모르겠다. 숨어 있다.”

6일 오후 서울 도봉경찰서로 가상의 구조요청 신고가 접수됐다. 112상황실은 곧바로 피해자의 휴대전화 와이파이, 기지국 등 센서 정보를 통해 피해자가 있는 건물을 특정해냈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들은 ‘이동형 와이파이 송신기’를 통해 6층 한 사무실 탁자 밑에 숨어 있는 피해자를 10분 만에 정확히 찾아냈다.

경찰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범죄예방 협력 강화방안을 발표하고 주요 기술을 시연했다. 경찰이 중점적으로 선보인 건 ‘지능형 긴급구조 정밀 측위’다. 구조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이동형 와이파이 송신기를 이용해 고층 건물, 빌딩 밀집지역 등에서도 피해자 위치를 특정하는 기술이다.

경찰은 이어 서울 서초구로 도주했던 피의자도 빠르게 검거했다. 피해자가 진술한 용의자 인상착의를 바탕으로 인근 CCTV에서 인공지능(AI)을 통해 피의자 동선을 추적한 결과다.

경찰은 최근 스토킹 범죄로 신변보호 조치 요청이 급증한 만큼 피해자 구조와 피의자 검거에 이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미 이동형 와이파이 송신기는 도봉서 등 전국 8개 관서에서 시범 도입 중이다. 그동안 실종아동을 1시간 만에 구조하는 등 총 66건의 감금 피해자와 자살기도자를 구조했다.

양 부처는 신고자 위치에 대한 오차 범위를 50m에서 10m로 줄일 수 있도록 측위 기술을 고도할 계획이다. 시연 현장에 참석한 윤희근 경찰청장은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과학 치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앞으로도 치안 분야 연구개발(R&D)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신영 기자 spiri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