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들도 AI 개발 경쟁… 사업 효율성 제고 나선다

입력 2023-12-04 04:07

통신사 꼬리표를 떼려는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인공지능(AI)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각 통신사가 도입하고 있는 통신업계에 특화된 AI는 ‘비용 효율화’를 통해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KT는 지난 10월 31일 초거대 AI ‘믿음(Mi:dm)’을 출시했다. 믿음은 경량 모델부터 초대형 모델까지 기업이 규모와 사용 목적에 맞는 4종의 모델로 구성됐다. 별도 개발 및 학습 인프라가 없어도 이 AI 모델을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9월 말 공개한 자체 개발 거대언어모델(LLM)인 ‘에이닷엑스(A.X)’을 통해 다양한 통신 및 고객 데이터 학습을 진행하고 있다. 애플 아이폰 통화 요약 등 기능이 포함된 SK텔레콤의 AI 개인비서 ‘에이닷’도 이를 활용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내년 상반기 ‘익시젠(ixi-GEN)’을 출시할 계획이다. 익시젠은 통신 및 플랫폼 사업과 관련한 데이터를 기존 LLM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AI의 공통점은 기업 간 거래(B2B)에 특화됐다는 점이다. 전문 분야에 특화된 LLM은 오픈AI,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가 개발 중인 범용 LLM과는 구분된다. 각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이용자 의도도 잘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업종 전문 AI는 통신사 AI 콜센터 등 고객 서비스 등에 적합한 모델이다.

특화 AI가 성과를 낼 분야로는 우선 이들 통신 3사가 속한 통신업종이 꼽힌다. 통신사들이 특화 AI를 활용해 소비자가 상위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는 분석이 있다. 김준섭 KB증권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현재는 통신사들이 세밀화된 요금제를 제공하는 가운데 가입자들의 사용량과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요금제가 높아지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통신사들이 5세대(5G) 요금제를 세분화한 것을 그 근거로 들었다. 소비자들이 사용량에 근거한 요금제를 찾는 과정에서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상승할 수 있다는 논리다. 이 과정에서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요금 추천제는 통신사의 매출을 올리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마케팅 효율성도 높아질 수 있다. 과거에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마케팅 비용을 집행하면서 효율성이 떨어졌지만, 앞으로는 특화 AI를 통한 맞춤형 마케팅이 활성화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현재 서비스 수익 대비 20%에 가까운 마케팅 비용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