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인도주의 지원 규모가 대북 민간지원단체 지원 총액의 70%에 달하며 이는 북한 주민의 생존권 보호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냉전기에는 창의적인 남북 공동 사업을 모색해야 한다는 제언도 뒤따랐다.
이문식 남북나눔운동 이사는 27일 ㈔평화통일연대(평통연대·이사장 박종화 목사)가 주최한 ‘한국교회 초청 화해와 평화, 평화통일을 위한 포럼’에서 “대북 인도주의 지원에 대한 노력으로 한국교회는 한반도에서 ‘남북 평화 구축의 조성자’ 역할을 맡게 됐다”고 밝혔다. 또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끌어내는 데도 이바지했다”고 평가했다.
이날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열린 포럼은 9·19 남북군사합의 무력화로 남북 간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한국교회의 평화통일 운동을 돌아보고 향후 방향을 모색키 위해 마련됐다. 포럼에서 ‘기독교 대북지원 운동의 역사와 미래 전망’을 발표한 이 이사는 남북 관계 ‘빙하기’ 속 민간 협력 재개를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이 이사는 “북·중·러와 한·미·일의 대치로 남북 관계가 ‘신(新)냉전기’에 돌입한 상태”라며 “이런 상황 속 대북 지원을 위해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에 속하지 않는 관광 등 남북 공동 사업을 창의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독교대한감리회와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예장합동,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 4개 교단 북한선교 담당자가 나서 그간 국내외 북한선교 활동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선 2021년 기장 총회가 발표한 ‘남북 화해를 위한 북녘에 두고 온 재산권리 포기 선언’이 한국교회 전반으로 확산되길 바란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세욱 기장 평화공동체운동본부 집행위원은 “지난달 열린 캐나다연합교회 제44차 정기총회에서 ‘시가 1071만4000캐나다달러(102억5523만원)에 해당하는 북녘 내 103개 필지와 95개동 건물의 재산권리를 포기한다’는 선언이 통과됐다”며 “국내외 교단들도 이 선언에 동참한다면 남북 간 교류·협력은 물론, 상호 신뢰 구축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제안했다.
평통연대 상임고문인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은 “발표를 들으며 분단 장벽을 극복하려는 한국교회의 뚜렷한 노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만 이들 정책이 ‘흡수통일 후 어떻게 선교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분명한 건 남북 모두 유엔에 가입한 체제가 다른 독립 국가라는 것이다. 이를 분명히 인식하면서 분단 극복과 선교 한국을 위해 성서적 노력을 심화시키자”고 격려했다.
양민경 기자 grie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