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중 정상회의, 가장 빠른 시기에 개최 합의 재확인”

입력 2023-11-27 04:06
박진 외교부 장관이 26일 부산 누리마루APEC하우스에서 열린 한·일·중 외교장관회의에 앞서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왼쪽),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과 손을 맞잡고 있다. 박 장관은 회의를 마친 뒤 “세 장관은 3국 협력을 조속히 복원하고 정상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한·일·중 3국 외교장관이 26일 4년여 만에 한자리에 모여 2019년 이후 중단된 3국 정상회의 재개를 위한 막판 조율에 나섰다.

박진 외교부 장관과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은 이날 부산 누리마루 APEC하우스에서 열린 3국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했다. 3국 외교장관회의는 2019년 8월 중국 청두에서 열린 이후 4년3개월여 만이다.

한·일·중 외교장관회의는 약 1시간40분간 진행됐다. 박 장관은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세 장관은 3국 협력체제의 최정점인 3국 정상회의를 상호 편리한, 가장 빠른 시기에 개최키로 한 합의를 재확인했다”며 “앞으로 정상회의 개최가 머지않은 시점에 가시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3국 정상회의는 2008년 첫 개최를 포함해 8차례 열렸으나 2019년 12월 청두 회의 이후 코로나19 등으로 4년 가까이 열리지 않고 있다. 차기 의장국인 한국 정부는 이르면 연내 정상회의를 개최하기 위해 조율해 왔으나 현재로선 연내는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3국은 내년 초를 염두에 두고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일·중 3국 외교장관회의에 앞서 이날 오전 한·일, 한·중 양자 외교장관회담도 차례로 열렸다. 박 장관과 가미카와 외무상은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및 북·러 무기거래 등을 포함한 지역·글로벌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최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손해배상 청구소송 판결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다. 서울고법 민사33부(재판장 구회근)는 지난 23일 위안부 피해자와 유족 16명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항소심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고, 일본 정부는 반발했다.

가미카와 외무상은 유감의 뜻을 전하며 “국제법 위반을 시정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적절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는 일본 정부 입장을 재차 촉구했다. 박 장관도 “한국 정부는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양국 간 공식합의로서 존중한다”는 정부 입장을 재확인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회담 후 “2015년 합의문에 나온 피해자 명예와 존엄 회복을 위해 양국이 노력하는 가운데 양국은 미래지향적 관계를 모색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다.

곧이어 박 장관은 왕 위원과 약 2시간 동안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가졌다. 박 장관은 한반도 문제에서 중국의 역할을 당부했다. 특히 정부가 9·19 남북군사합의 일부 조항을 효력 정지한 것은 ‘국민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방어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왕 위원도 한반도 상황에 우려를 표명하고 중국이 한반도 안정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내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문제도 의제로 논의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해 “구체적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양측은 고위급 교류 중요성에 공감대가 있고 소통해가고 있다”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