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지도부와 혁신위원회 간 갈등이 ‘치킨게임’ 양상으로 격화되고 있다. 양측의 수장은 김기현 대표와 인요한 혁신위원장이다.
‘김기현 지도부’와 ‘인요한 혁신위’ 충돌의 분수령은 오는 30일이 될 전망이다. 인 위원장은 김 대표 등의 반응이 없을 경우 30일 혁신위 전체회의를 열어 당 지도부와 친윤(친윤석열)계, 중진 의원들의 불출마 또는 험지 출마를 의결하고 최고위원회의에 공식 혁신안으로 제출할 방침이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자신들을 겨냥한 혁신안을 거부할 경우 혁신위는 활동 종료일(12월 24일)을 한 달 가까이 남겨둔 채 ‘조기 해체’라는 초강수를 둘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혁신위에 전권을 주겠다”고 호언장담했던 김 대표도 정치적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인 위원장과 김 대표 측은 주말 내내 신경전을 이어갔다. 인 위원장은 내년 총선 험지 출마설이 나오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25일 서울 여의도에서 만나 오찬 회동을 가졌다. 원 장관은 이 자리에서 “혁신은 선택이 아니라 우리의 생명줄”이라며 “가는 길이 쉬우면 혁신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 위원장은 “(당 지도부 등의 불출마·험지 출마 결정은) 시간 문제라고 생각한다”면서 “모든 일이 이뤄지고 당과 국가를 위해 애국자가 나오고 희생하는 사람 나올 것”이라고 자신했다.
반면 김 대표는 같은 날 지역구인 울산 남구에서 의정보고회를 세 차례나 개최했다. 김 대표는 자신을 겨냥한 불출마, 험지 출마 요구를 겨냥해 “내 지역구가 울산이고, 내 고향도 울산이고, 지역구를 가는데 왜 시비인가”라며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다. 김 대표는 특히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를 강조했다. 김 대표는 “저는 대통령과 자주 만난다”며 “어떤 때는 만나면 한 3시간씩도 얘기한다. 주제를 가지고 하는 게 아니고 그냥 ‘프리토킹’을 한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이어 “어떤 때는 하루에 세 번, 네 번씩 전화도 한다”며 “밤늦은 시간이더라도 밤 9시, 10시라도 만나 이야기를 나눈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지도부와 인요한 혁신위가 파국을 맞을 수 있다는 전망에 점점 더 힘이 실린다. 한 수도권 재선 의원은 “혁신위가 지도부와 친윤계, 중진 의원들의 희생을 당 지도부에 공식 혁신안으로 제출한다는 것은 ‘지도부에게 자신의 목을 스스로 자르라’고 요구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 지도부 관계자는 “혁신위와 지도부 모두 전면전을 벌일 경우 공멸할 것이라는 사실을 너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막판 타협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