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지방시대 5대 특구’ 정책 통해 발전 견인한다

입력 2023-11-17 04:02
부산 아스티호텔에서 16일 열린 ‘2023 영남미래포럼’에서 참석자들이 발제를 들은 후 박수로 화답하고 있다. 영남 5개 시도는 기회발전, 교육, 도심융합, 문화, 글로벌혁신 등 정부의 지방시대 5대 특구 정책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부산=이한형 기자

영남권 5개 시도는 정부의 지방시대 5대 특구(기회발전특구, 교육발전특구, 도심융합특구, 문화특구, 글로벌혁신특구) 정책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특히 정부가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 방침을 밝힌 기회발전특구에 공을 들이고 있다.

부산시는 부산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를 파고들어 발전 기회를 잡을 계획이다. 지난 3월 지정한 기회발전특구 전담부서가 특화업종과 대상지역을 물색하고 현장의견을 수렴한 뒤 기회발전특구 3가지 모델을 제시했다. 금융블록체인(문현·북항), 전력반도체(동남권의과학산단), 이차전지·모빌리티 분야다. 이중에서도 특히 금융블록체인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성권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부산은 잘사는 동네라는 생각을 많이 하지만 정작 현재 남아있는 주력 산업이 없는 소비도시로 전락해 많은 고민을 안고 있다”며 “지역에 맞는 신산업과 전략산업을 육성하고 기회발전특구와 연계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시는 그동안 지역에 구축해놓은 인프라와 연계해 모빌리티, 로봇, 디지털 산업을 중심으로 단계별로 기회발전특구를 조성할 예정이다. 즉시 입주 가능한 국가산업단지, 테크노폴리스 중심으로 1단계 특구를 만들고 중장기적으로 제2국가산단, 신공항 첨단산단 등이 조성되면 단계별로 특구를 확장시킬 계획이다.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대구는 모빌리티 전기차 모터 소부장 특화단지도 유치했고 국가로봇테스트필드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구축한다”며 “기회발전특구와 5대 미래신산업을 잘 연계해 대구를 동남권 경제 중심축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추진하고 있고 이를 기회발전특구와 연계한다는 전략이다. 내년 6월부터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시행되는 것을 계기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울산시는 특화지역 계획 수립 용역을 시행하고 지정 추진단을 구성했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 되면 전력 생산자가 한전을 거치지 않고 기업이나 시민 등 특화지역 내 수요자에게 직접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서정욱 울산시 행정부시장은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되면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이차전지,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수도권 내 많은 에너지 다소비 기업들이 울산으로 이전해 올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경북도는 다방면에서 지방 살리기를 고민 중이다. 제조업 중심으로 묶여 있는 산업을 신산업 벨트 중심 재편하고 신에너지, 모빌리티, 항공물류, ‘K-U시티’와 연계해 기회발전특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1시군-1대학 연계 K-U시티를 역점 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경북 관내 시·군과 대학, 기업을 연결해 기업이 원하는 인력을 양성하고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플랫폼이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지금이 대한민국을 살리는 골든타임이라는 생각으로 지방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수도권 중심에서 지방 중심으로 축의 대전환이 일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남도는 지난 7월 투자유치단 내에 기회발전특구태스크포스(TF)를 신설했다. 경남도의 주력산업인 우주항공, 원전, 방산 분야 앵커기업과 다른 시·도에 있는 첨단분야 기업들을 유치할 계획이다. 문화특구에도 도전한다. 지리산과 남해안 등 차별화된 문화자원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지역에서 나고 자란 인재가 지역에 정주할 수 있도록 대학 진학, 취업, 창업까지 지역에서 이뤄지는 인프라를 구축해 교육발전특구 지정에도 도전한다.

최만림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지방균형 발전을 위해 세종시를 만들었는데 수도권을 충청권으로 넓히는 효과만 낸 것이 아닌지 생각해봐야 한다”며 “대기업이 내려올 수 있도록 영남권과 호남권에 더 많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검토해볼만 하다”고 말했다.

부산=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