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한수원, 늑장 계획예방정비로 10년간 4300억 날렸다

입력 2023-11-16 04:06

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 10년간 원전 계획예방정비 지연으로 4300억원이 넘는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안전과 비용 절감을 위해 더 잦은 자체 점검과 신속한 정비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한수원이 김경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 10월까지 한수원은 계획예방정비 지연 명목으로 4307억원을 계획보다 더 지출했다. 계획예방정비는 연료의 재장전 기간을 이용해 원전 정상운전 중 할 수 없었던 점검 및 교체 등을 수행하는 정비 활동이다. 경수로는 약 18개월, 중수로는 약 15개월 주기로 이뤄진다.


월성 3호기는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 계획예방정비를 하기로 예정돼 있었다. 그러나 증기발생기 습분 분리기 교체가 지연되면서 이듬해 4월에서야 정비가 마무리됐다. 한 달로 계획됐던 정비 작업 비용은 259억원으로 예상됐지만, 정비 기간이 늘어지면서 412억원이 추가로 지출됐다. 한빛 3호기도 2018년 5월부터 7월까지 정비가 예정돼 있었지만 격납건물 철판 점검에 시간이 더 들어 2020년 11월에서야 정비가 끝났다. 이에 따라 290억원이 더 투입됐다.

한빛 4호기는 2017년 5월 정기검사 한 달만에 격납건물 하부에서 콘크리트가 제대로 채워지지 않은 공극이 발견됐다. 이후 확대 점검을 실시한 결과 2019년 10월까지 최대 157㎝짜리를 포함해 모두 140개의 공극이 나타났다. 한수원은 한빛 4호기 내 모든 격납건물에서 기준 두께(5.4㎜)에 미달하는 내부 철판을 교체한 뒤 지난해 12월부터 재가동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364억원이 추가로 소요됐다.

한수원은 보통 계획예방정비에 90~120일가량이 걸린다는 입장이다. 이를 고려해도 수백~수천일까지 정비 기간이 늘어나 손실이 생기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빛 4호기처럼 원전 자체 시설에 결함이 발견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윤석열정부는 그동안 전 정부의 탈원전 기조 탓에 한수원이 수천억원 이상의 손해를 봤다고 지적해왔다. 그러나 원전 내부에서 크고 작은 안전 문제가 발생하면서 계획예방정비 기간이 길어지는 등 자체적으로 손실을 키웠다는 비판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

김경만 의원은 “원전이 완전무결한 전원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계획예방정비를 하면서 추가적인 고장이 발견되고 비용이 추가되는 경우가 잦은데, 자체 점검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