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 후보자의 딸이 학교폭력을 저질렀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또 김 후보자가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던 시점을 포함해 근무시간에 수십 차례에 걸쳐 주식거래를 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터져 나왔다. 김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될 경우 부실 인사검증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부산교육청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김 후보자의 딸을 포함한 당시 중학생 6명은 2012년 4월 27일 교내 화장실에서 동급생 1명을 집단 폭행했다.
같은 해 5월 8일 열린 학폭위는 가해 학생 중 1명에게 3호 조치인 ‘교내봉사’를, 김 후보자 딸을 포함한 나머지 5명에게는 1호 조치인 ‘피해 학생에 대한 서면사과’ 처분을 각각 내렸다. 현행법상 학폭 조치는 1호부터 9호(퇴학)로 구분된다.
사건 발생 당시 김 후보자는 중학교 인근의 부산 해군작전사령부에서 근무 중이었다. 기 의원은 “학폭 인사 참사는 윤석열정부 인사검증시스템 실패의 대표적 사례”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 측은 “송구하게 생각한다”면서도 “제 자녀는 동급생간 다툼에 연루됐고, 진정성 있는 사과를 통해 당사자가 이를 받아들여 마무리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후보자 측은 “당시 함장 임무를 수행하며 잦은 해상 출동 등으로 자녀 학교생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또 최근 2년간 근무 중 수십 차례에 걸쳐 주식거래를 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국방위 소속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한국거래소(KRX) 제출자료를 토대로 김 후보자가 지난해 1월부터 현재까지 모두 46차례에 걸쳐 주식과 ETF를 거래한 것으로 집계했다.
문제는 이 기간 모든 거래가 오전 10시~11시 사이, 오후 2시~4시 사이에 이뤄졌다는 점이다. 점심시간인 정오부터 오후 1시 사이에 거래한 경우는 한 건도 없었다고 정 의원 측은 설명했다.
김 후보자는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했을 때도 주식거래를 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국방부 산하 국방개혁실 국방운영개혁추진관(소장)으로 근무하던 김 후보자는 지난해 1월 5일 오전 11시쯤 ‘케이탑리츠’ 주식 50만원어치를, 17일에는 24차례에 걸쳐 ETF 2000만원어치를 각각 매수했다.
김 후보자 측은 지난해 1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 도발 상황에서 주식 거래를 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국방운영개혁추진관 근무 시에는 작전 조치 요원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