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제작사 하청기지화, 국내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업계 경영난, 영화산업 침체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지원을 크게 늘린다. 세계 시장에 통하는 대작을 만들기 위해 1조원 규모의 ‘K-콘텐츠 전략펀드’를 신설하고, 제작사의 IP(지식재산권) 확보도 적극 지원한다.
유인촌(사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4일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영상산업 도약 전략’을 발표하고 “적어도 내년에는 드라마나 영화 업계가 체감적으로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시장을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영상산업 도약 전략의 핵심은 국내 영상산업 활성화와 IP 확보에 있다. 문체부는 투자처 제한이 없는 K-콘텐츠 전략 펀드를 민관 합동으로 신설한다. 내년에 우선 6000억원을 조성하고 2028년까지 총 1조원 규모로 확장해 세계 시장을 공략할 킬러 콘텐츠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에게 내주고 있는 IP를 확보하기 위해 IP 확보를 조건으로 투자하는 ‘IP 펀드’도 별도로 조성한다. 유 장관은 “IP를 콘텐츠 창작자나 제작자가 아닌 OTT가 모두 가져가는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면서 “우리 의지만 갖고 되진 않겠지만 지금처럼 그냥 내버려 두진 않겠다는 의지는 정확히 표현하고 싶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영화가 극장에서 IPTV와 OTT로 넘어가는 데 걸리는 기간을 뜻하는 ‘홀드백’을 정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OTT 구독료를 소득공제 대상에 넣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콘텐츠 산업 내 불공정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문화산업공정유통법’ 제정도 추진한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