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전·후처리 전반에 걸친 4대 핵심 기술 내재화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SK에코플랜트는 폐배터리에서 용매추출 방식으로 뽑아낸 니켈·코발트의 회수율이 97%를 달성했다. 순도는 99.9%로 실제 배터리 제조에 쓰이는 광물 수준이라고 한다. 역시 주요 희소금속으로 배터리 양극재 주요 소재인 리튬의 회수율은 90%까지 높였다. 산화물 형태로 바꾼 수산화리튬은 배터리 품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과정에서 사용하는 추출제의 성능을 개선해 용수의 양은 기존 대비 50% 줄였다. 물질의 특성을 사전에 확인하고 예측하는 모델링을 통해 최소한의 용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희소금속 추출 전 폐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키는 데 여기에 걸리는 시간은 최장 49분 내로 단축했다. AI(인공지능) 알고리즘 모델을 적용했다. 화재나 폭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보통 하루 남짓 걸리던 작업이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이날 대전 유성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개최한 ‘배터리 재활용 기술 개발 선포식’에서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력과 다수의 현지 거점 확보 조건을 모두 갖췄다”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