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민주노총)가 2년 연속 파업에 들어갔다. 정원 감축 문제를 두고 양측이 합의점을 찾지 못한 까닭이다. 노조는 합의 없는 인위적 인력 감축이라는 입장인 반면 공사는 경영 효율화를 위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9일 서울교통공사와 노조에 따르면 공사는 지난해 유보한 인력(126명)을 포함해 올해 총 383명의 정원을 감축하는 내용을 담은 경영혁신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2026년까지 공사 전체 정원의 13.5%인 2212명의 정원이 줄어든다. 이는 재직 중인 현 인원을 감축하는 것이 아닌 퇴직자가 발생할 경우 채용을 하지 않거나 안전과 관련 없는 인력을 자회사에 위탁하는 방식 등으로 이뤄질 계획이다.
노조는 이에 대해 합의 없는 일방적 구조조정안이라고 반대하고 있다. 특히 공사가 본교섭 과정에서 제시한 인력 감축안에 포함된 차량관리소 업무(196명), 기지 구내 운전 업무(90명) 등은 안전에 필수적인 업무를 외주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공사가 감축 정원 기준도 정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노조 관계자는 “이건 그냥 합의 없이 숫자를 인위적으로 정한 감축”이라고 강조했다.
공사는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해 정원 감축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올해 말 기준 공사의 누적적자는 18조4000억원, 당기순손실은 7800억원에 달한다. 또 2021년 행정안전부로부터 공사채를 발행할 당시 승인조건이 자구적 경영혁신계획이었다.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경영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다. 공사는 지난해 경영평가에서도 ‘라’등급을 받았다.
사측은 정원 감축인 만큼 ‘강제적 구조조정’도 아니라고 강조했다. 정원 감축으로 인해 자회사로 이관되는 업무를 맡은 직원도 공사에 재배치할 계획이다. 공사 관계자는 “정원 감축 대상 업무는 공사 내에서 향후 기술 발전 등으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해질 업무를 지정한 것”이라며 “본교섭 과정에서 나왔던 안도 협상 과정에서 나온 것이고 어떤 업무를 감축할지는 교섭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노사 간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는 만큼 교착상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원을 감축하기 위해선 노사 합의가 필요하다. 지난해의 경우 노사가 줄다리기 끝에 유보로 합의됐다.
공사는 “진영 논리에 앞서 직원들이 객관적으로 판단해 달라”며 신규 채용 확대, 향후 정원 감축 방안 논의 등을 기반으로 한 합의안을 내부 게시망에 공개하며 노조를 압박했다. 공사가 내놓은 안에 찬성했던 서울교통공사 통합노조(한국노조) 역시 파업에 불참한 상황이다.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출정식을 열고 10일 주간근무(오후 6시)까지 시한부 파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다만 “서울시와 공사의 입장 변화가 요원하다고 판단할 경우 16일 수능 특별수송에 만전을 기한 후 2차 전면파업을 한다는 계획”이라고 경고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