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때 유출됐다 환수된 조선왕조실록과 조선왕조의궤 오대산 사고본(史庫本)이 110년 만에 제자리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그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하던 오대산 사고본 실록과 의궤 원본을 원소장처인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으로 돌려보내기로 하고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이하 실록박물관)을 설립해 12일 정식 개관한다고 9일 밝혔다.
조선 왕조는 태조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472년간의 역사를 담은 ‘조선왕조실록’을 여러 권 찍어 전국에 분산 보관했다. 초기에는 경복궁 내 춘추관과 지방의 충주·전주·성주 사고(史庫) 등 4곳을 운영했다. 하지만 임진왜란으로 전주 사고를 제외한 나머지 사고가 모두 소실되자 임란 후에 안전을 위해 인적 드문 오대산에 사고를 설치했다. 오대산 사고에는 실록과 함께 왕실의 주요 행사를 정리한 의궤(儀軌), 왕실의 족보 등의 중요한 기록물도 보관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인 1913년 실록 전량과 의궤 일부가 일본으로 반출됐고, 민간과 불교계,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2006년과 2017년에 실록이, 2011년에 의궤가 각각 환수됐다. 현재 오대산 사고본 실록은 75책, 환수된 의궤는 82책이 전해진다.
실록과 의궤를 보관·전시할 박물관 건물은 기존 월정사 성보박물관을 새 단장해 사용한다. 총 면적 3537㎡, 지상 2층 규모로 관련 유물 1207여 점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수장고와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실감형 영상관 등 다양한 공간들로 구성됐다.
실록박물관은 1913년 도쿄제국대학으로 반출된 이후 1932년, 2006년, 2017년 등 세 차례에 걸쳐 돌아온 오대산 사고본 ‘성종실록’, ‘중종실록’, ‘선조실록’ 등 실록의 원본을 상시로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의궤는 왕실 행사나 국가의 중요한 사업이 끝난 뒤 전 과정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자료로, 2011년 일본에서 환수한 오대산 사고본 의궤는 모두 19세기 후반 이후 제작된 것이다.
손영옥 문화전문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