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전남도의 ‘상생’이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광주·전남은 한 뿌리’라고 외쳤지만 반목과 갈등만 표출하는 상황이다.
광주시는 최근 광주~나주 광역철도 노선에 효천역을 제외하면 사업을 포기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전남도에 발송했다. 앞서 전남도가 원활한 예비타당성 통과를 위해 효천역을 제외한 국토교통부 기존 노선대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데 대한 정면 대응이다.
국책사업으로 선정된 광역철도 노선에 대한 광주시의 변경 요구를 전남도가 묵살하면서 광주~나주 광역철도는 좌초될 처지에 놓였다. 기획재정부는 6월부터 총연장 28.1㎞의 광역철도(복선 전철)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 운행구간은 광주 상무역~풍암역~대촌역~남평역~혁신도시역~나주역이다.
광주시는 9일 “국책사업이지만 막대한 부담금과 운영비를 시 재정으로 떠안아야 하는데 기존 노선은 시민들의 외면을 받게 될 것”이라며 “인구가 많은 효천·상무 지구와 나주혁신도시의 교통편의를 위해 반드시 효천역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존 노선 안을 상무역~서광주역~서부농수산물센터~효천지구~도시첨단산단~전남 나주함평~혁신도시~나주역으로 변경해달라는 것이다.
반면 전남도는 “수년 동안 시·도가 협의과정을 거친 노선을 갑자기 바꾸게 되면 예비타당성 조사가 늦어지고 도의 부담금 역시 크게 늘어나게 된다”고 맞서고 있다. 도는 “효천역 경유 노선은 운행 구간이 길어져 이용률이 그만큼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사전타당성 조사를 거쳐 선택한 노선에 대한 사업 참여를 시가 포기하게 되면 광주와 전남, 나주시 간 3자 협의로 추진 중인 광역철도는 무산될 공산이 커진다.
광주·무안 국제공항 통합도 제자리만 맴돌고 있다. 시와 도는 2018년 8월 당시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 김산 무안군수가 서명한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협약서’를 두고 동상이몽 중이다. 광주시는 군 공항 이전이 전제되지 않은 협약서 효력을 인정하지 않는 반면 전남도는 아직 파기된 적이 없다고 강하게 맞서 접점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다.
광주 시민단체 관계자는 “최종 의사결정권을 가진 시장과 도지사가 속내를 털어 넣고 지역발전을 위해 머리를 맞대는 수밖에 없다”며 “상생을 팽개쳐두고 소모적 샅바싸움에만 몰두하는 모습이 볼썽사납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