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부자에게 청지기가 있는데
그 청지기는 주인의 재산을 허비한다
주인이 그를 불러 다그치고 책망하며
보던 일을 셈하고 직무를 그만두라고 한다
그 말에 청지기는 걱정하며 한탄한다
이제부터는 무엇을 해야 한단 말인가
땅을 파서 먹고살자니 내겐 힘이 없고
남에게 손을 벌려 빌어먹자니 부끄럽구나
그래, 내가 아직 할 일이 있구나
주인에게 빚진 자들의 빚을 삭감해 주리라
청지기는 빚진 자들을 한 사람씩 불러
빚문서에 적힌 액수를 반이나 5분의 1로 줄인다
불의한 청지기가 슬기롭게 대처하는 걸 보아라
이 세상 자녀들이 빛의 자녀들보다 더 슬기롭구나
불의한 재물로 친구를 사귀어라
작은 일에 충실한 사람은 큰일에도 충실하다
불의한 청지기 비유(눅 16:1~13)는 해석하기가 난해하다. 하지만 곁가지를 쳐내고 비유의 핵심 교훈에 주목한다면 그리 어렵진 않다. 주인은 청지기의 행위를 칭찬한 게 아니고, 그 방법 여부를 떠나 앞일을 대비하는 그의 지혜로운 처신만을 칭찬한 것이다. 여기에서의 교훈은 이러하다. 불의한 세상 사람들도 자기 앞일을 대비하려고 온갖 지혜를 동원한다. 하물며 믿는 자들이 영생(永生)을 대비하는 데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것이다. 이 비유에서 예수님은 세상 재물을 '작은 것'이라 표현했다. 영적 은사를 '큰 것' '참된 것'이라 표현하면서 둘의 연관성을 제시했다. 요점은 '충성'이다.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충성이다. 하나님께서는 영적 은사 같은 크고 참된 것을 맡기기 전에, 우리가 세상 재물 같은 작은 것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자세히 테스트하신다.